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1644-0147

투자전략&톡속보

오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전선, 카지노, 호텔/리조트, LED장비, 두나무(Dunamu), 요소수, 면세점, 여행, 김밥(냉동김밥 등), 전력설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반도체 대표주(생산), 원자력발전소 해체, 인터넷 대표주, 야놀자(Yanolja), 모더나(MODERNA), 지역화폐, 셰일가스(Shale Gas), 제대혈, 희귀금속(희토류 등), 화이자(PFIZER), IT 대표주, 마이크로바이옴, 핵융합에너지,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화장품 등...약세 테마 : 리츠(REITs), 낙태/피임 등...[특징 테마]반도체/AI/전력설비 등 : 엔비디아 3분기 실적 호조, AI 거품 우려 완화 등에 상승▷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엔비디아가 3분기(8~10월) 실적을 발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사상 최대인 570억1천만 달러(한화 약 83조4천억 원)를 기록했으며, 이는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예상치 549억2천만 달러를 상회.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사상 최대인 51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90%에 육박하는 규모임. 주당 순이익은 1.30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 역시 시장 예상치 1.25달러를 상회.▷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블랙웰 AI 슈퍼컴퓨터 판매는 폭발적이고 클라우드 그래픽처리장치(GPU)는 모두 매진됐다", "컴퓨팅 수요는 훈련과 추론 전반에서 가속적으로, 그리고 누적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각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AI 거품론을 일축. 이어 "우리는 인공지능(AI)의 선순환에 진입했다"며 "AI 생태계는 더 많은 신규 파운데이션 모델 제작자, 더 많은 AI 스타트업, 더 많은 산업, 더 많은 국가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 이에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5% 넘게 상승.▷한편, 19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UAE 소재 G42와 사우디 소재 휴메인(Humain)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수출을 인가했다고 밝힘. 이 두 AI 기업은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 최대 3만5천개와 동등한 연산력의 반도체를 구매하는 것을 허가받았으며, 상무부는 이번 허가는 미국이 사우디, UAE와 각각 체결한 AI 파트너십 합의에 따른 것이라면서 "미국의 지속적인 AI 지배력과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레이저쎌, 후성, 원익QnC, 엘티씨, 한화비전, 한미반도체, SFA반도체, 피에스케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아울러 에스투더블유, 가온그룹, 미래컴퍼니, 비큐AI, 노타, 알체라, 폴라리스AI, 데이타솔루션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보성파워텍, 가온전선, 대원전선, 효성중공업, 대한전선, 두산에너빌리티 등 전선, 전력설비 테마도 상승.두나무(Dunamu) : 네이버-두나무 합병 임박 소식 등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네이버가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는 합병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짐. 네이버와 두나무는 오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 안건을 상정할 예정. 네이버와 두나무의 주식 교환 비율이 1대 3에서 1대4가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정확한 비율은 이사회를 앞두고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주식교환이 완료되면 네이버의 금융계열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서로 주식을 맞바꿔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가 되며, 두나무는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될 예정. 합병이 완료되면 두나무를 품은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 주주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되고, 2대 주주는 네이버가 될 것으로 전망.▷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기술투자, 한화투자증권, 신성이엔지, 코오롱, 코오롱인더,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등 두나무(Dunamu) 테마가 상승.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 트럼프 행정부, 우크라전 종식 시도 재시동 소식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논의에 다시 시동을 걸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러시아와 비밀리에 휴전 협상안을 논의하고, 우크라이나에 군 고위 대표단을 파견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18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 측과 비밀리에 우크라이나전 종식을 위한 새로운 평화 구상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으며, 이 구상은 우크라이나 평화체제, 안전보장, 유럽의 안보, 미국과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간의 미래 관계 구상 등 4개 범주의 총 28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짐.▷아울러 외신에 따르면, 댄 드리스컬 육군장관과 육군 4성 장군 2명이 우크라이나를 방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해짐. 이들의 임무는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우크라이나전 평화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라고 전해졌으며, 이들은 우크라이나에 이어 러시아도 방문해 현지 당국자들을 면담할 계획임.▷이 같은 소식 속 에스와이스틸텍, 전진건설로봇, 대모, 대동기어, 대동, HD현대인프라코어, 에스와이, SG, 자연과환경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태양광에너지 : 정부·업계, 태양광 제품 국산화 추진 소식 등에 상승▷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와 태양광 대기업·중견·중소기업들이 손잡고 태양광 국산화에 나선다고 전해짐. HD현대에너지솔루션·한화솔루션·효성중공업·OCI파워 등 태양광 대기업들은 5~6곳의 태양광 중견·중소 인버터 기업들과 국내 생산을 타진하고 있음. 그동안 대기업들은 중국 친트파워, 선그로우,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자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그대로 수입해 자사 브랜드만 달아 판매해왔다며, 대기업들이 유통을 자처하면서 현재 중국 기업의 국내 점유율은 90% 이상인 것으로 알려짐. 앞으로는 중국 수입 물량을 단계적으로 인버터 중소업체에 맡겨 국내 위탁생산(ODM)으로 전환할 계획임.▷정부도 국산화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다며, 동시에 국내 생산을 유도할 지원책도 고안중이라고 전해짐. 이재명 대통령은 직접 기후에너지환경부에 국산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짐. 이에 정부는 현재 연평균 3GW(기가와트)대인 태양광 연간설치량을 연평균 10GW로 높이겠다는 내부 목표를 세웠다며, 공공프로젝트 등에서 중국산을 배제하고 국내산을 우대하는 방안을 내놓을 예정. 인버터의 경우 90% 이상인 중국산 비중을 단기적으로 60% 미만으로 낮추는 게 목표임.▷이 같은 소식 속 SK이터닉스, 에스와이, KCC, OCI홀딩스, HD현대에너지솔루션, 다스코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지주사 : 구윤철 기재부 장관, 금산분리 완화 논의 시사 등에 상승▷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규모 자본 조달이 필요하다면 금산분리의 근본적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계부처와 협의할 수 있다고 밝힘. 구 부총리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고, 죽느냐 사느냐 하는 엄중한 환경 속에서 규제를 무조건 유지하는 것이 반드시 선(善)은 아니다"라고 강조.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재계가 제기한 금산분리 완화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을 연 것으로 그동안 정부가 금산분리 완화 언급을 자제해 온 점을 감안하면, 정책지형이 '열어놓고 검토할 수 있는 국면'으로 전환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음.▷이 같은 소식 속 CJ, GS피앤엘, SK스퀘어, 아모레퍼시픽홀딩스, 코오롱, 두산 등 지주사 테마가 상승.오전장 특징주★(코스피)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기판용 회로박 쇼티지 장기화 전망 속 수혜 기대감에 급등▷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용 전지박은 100% 이상 공급과잉인 산업인 반면, 기판용 회로박은 중국 외 메이저 제조사가 5개 내외로 공급이 한정된 시장이라고 밝힘. 특히, 반도체 패키징기판과 서버/네트워크장비 기판용 회로박은 일본의 미쓰이가 사실상 독과점 공급중으로, 전지박과 회로박은 라인 전환이 용이하지 않다고 설명. 이에 기판 수요가 증가할 경우 회로박의 쇼티지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아울러 현재 국내 회로박 기업은 일본 CCL 을 선도하는 파나소닉 및 국내 CCL 업체인 두산과 협업하고 있으며, 대만 CCL 2개사와도 샘플 테스트를 시작하며 글로벌 Top 4 CCL사 모두에 회로박 공급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 이에 따라 향후 한국산 회로박이 북미 AI 반도체 기업의 차기 AI가속기 모델에 공급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국내산 회로박 > 두산전자 > 이수페타시스로 이어지는 한국 기판 밸류체인이 형성될 것이라며, 쇼티지 이후 가격(T-Value) 상승이 발생할 경우 실적 개선의 강도는 더 가파를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된 기업은 동사가 될 것이라고 언급.에이피알(278470) : 美 울타뷰티 입점 3개월만에 판매량 약 30% 급증 소식 등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달 뷰티 브랜드 ‘메디큐브’가 미국 대형 뷰티 편집숍 ‘울타뷰티’(ULTA) 지난 8월 초도 판매 시작 이후 3개월 만에 판매량이 30% 증가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5월 울타 뷰티와 메디큐브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2종의 제품을 선적했으며, 지난 8월에는 울타 뷰티 온라인 공식몰과 약 1,400개의 현지 오프라인 매장에 공식 입점하며 본격 판매를 시작한 바 있음. 특히, 동사는 이달 말 본격적인 블랙 프라이데이 쇼핑 시즌과 연말 프로모션 시즌의 성공적인 판매를 위해 주력한다는 계획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울타 뷰티와의 파트너십은 메디큐브의 미국 내 브랜드 확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며,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현지 소비자 경험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전일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동사의 올해 성장은 화장품이 주도(25년F 화장품 매출 9,478억원, YoY+180% 추정)했다며, 다수의 SKU가 주요 온라인 플랫폼 상위권에 안착했다고 언급. 경쟁과 유행 변화가 심한 화장품 시장 내 안정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고 분석. 이어 내년 실적은 미국 오프라인 매출 1,000억원(사측 가이던스 하단), 해외 디바이스 매출 4,018억원(YoY+32%)으로 보수적 추정. 고마진 채널/제품으로의 믹스 개선(오프라인 고마진, 디바이스 화장품 대비 소폭 높은 마진) 감안해 수익성 레버리지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00,000원[유지]우진(105840) : 한수원과 77.85억원 규모 신한울3,4호기 조립케이블(E248) 구매 계약 체결에 강세▷한국수력원자력㈜와 77.8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53%) 규모 공급계약(신한울3,4호기 조립케이블(E248) 구매) 체결(계약기간:2025-11-20~2030-06-15) 공시.모나용평(070960) : 분양 지속·운영 안정화로 장기 성장 기반 강화 분석 등에 상승▷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매출액은 481억원(+37.1% YoY), 영업이익은 45억원(-55.5% YoY, OPM 9.4%)을 기록했다고 밝힘. 운영 부문 매출액의 계절성이 옅어지며 상대적 비수기에도 흑자를 이어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아울러 스키 시즌인 1분기로 접어들며 객실 판매 정상화에 따른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또한, 30년까지 꾸준히 이어질 분양 실적은 객실 수 증가로 이어지며 안정적 운영 매출 성장의 기반이 되어줄 예정 이라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200원[유지]이수페타시스(007660) : 내년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5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액 3,080억원(+4% QoQ)과 영업이익 610억원(+4% QoQ, OPM 2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CAPA 대비 강력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4분기에는 AI 가속기와 네트워크 스위치향 매출이 전사 매출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이어 2026년 연결 기준 매출액 1.44조원(+32% YoY), 영업이익 2,859억원(+37% YoY, OPM 2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5공장 증설효과는 2026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온기가 반영된다며, 여기에 더해 루빈 반영에 따른 성능 요구 증가로 ASP 상승이 추가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 -> 154,000원[상향]삼양식품(003230) : 中 공장 증설 소식 등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장래사업ㆍ경영계획 정정공시(중국 현지 생산법인 투자계획 변경에 따른 정정). 아울러 보통주 74,887주(1,027.4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11-20~2025-11-28) 공시.▷이와 관련, 금일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중국 공장 관련하여 기존(2024년 12월 결정) 6개 라인에서 8개 라인으로 2개 라인이 추가되었다고 밝힘. 기존 건축비 절감 효과로 설비 투자 확대에도 총 투입금 증가는 제한적이라고 언급. 이에 따라 중국 예상 CAPA는 기존 8.2억식에서 11.3억식으로 37.8% 확대될 전망이며, 2027년 1월 중국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총 CAPA는 37.6억식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이어 동사는 보유 자사주 전량을 처분하기로 결정했다며, 재무구조는 안정적이며 현금 흐름도 견조해 재무 안정화 목적의 처분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힘.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공장 투자 가능성을 염두에 둔 재원 확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중국 예상 CAPA가 상당하지만 이는 중국 내수 대응 목적이라며, 글로벌 수요는 중국 이외 지역에서도 빠르게 증가되고 있어 추가 증설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800,000원[유지]오전장 특징주★(코스닥)시지트로닉스(429270) : 우주급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국산화 성공 소식에 상한가▷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공동으로 우주/방산 분야 핵심전력반도체인 '우주급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SBD)'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밝힘. 해당 소자는 오는 11월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 비행의 '우주검증위성 1호'에 탑재돼 실제 우주 환경에서 성능 검증을 받게 됨. 동사가 개발한 우주급 SBD는 40V, 150V 정격 전압, 5A, 15A 최대 순방향 전류, 낮은 순방향 전압 강하 및 최소 전력 손실 등의 특성을 갖춰 고효율 SMPS, 고주파 스위칭 회로, DC-DC 컨버터 등 다양한 우주 전력변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우주·방산 전력반도체의 국산화는 국가 전략기술 자립을 위한 중요한 성과"라며 "누리호 4차 비행 실증을 토대로 글로벌 우주 전자부품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고히 하겠다"고 밝힘.씨엠티엑스(38821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60,500원을 상회한 152,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임.▷한편, 동사는 반도체 전공정 중에서도 핵심 공정에 해당하는 식각(Etching), 증착(Deposition) 분야에 사용되는 고기능 정밀 부품을 제조하는 전문 소재·부품 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실리콘 파츠(반도체 식각장비의 주요 소모품), 세라믹 파츠(기타 반도체 장비 소모품), 사파이어 파츠(기타 반도체 장비 소모품) 등이 있음.프로티아(303360) : 본격적인 레버리지 구간 진입 분석 등에 급등▷그로쓰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과 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본격적인 레버리지 구간에 들어섰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글로벌 특허 기반 PLA 배열 기술을 바탕으로 다중 알레르기 진단 시장에서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해외 매출 비중 확대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 동사의 지난해 매출은 105억원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 영업이익은 15억원으로 815% 늘었고, 순이익은 24억원으로 428% 증가했다며, 해외 진출 확대와 고수익성 제품 비중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고 분석. 이어 동사는 단일 검체로 176종·192라인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PLA 기반 알레르기 다중검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Q-Smart·Q-Processor·Q-Station 등 고정밀 진단장비 판매 증가가 키트 매출 확대를 이끄는 락인(Lock-in) 구조 또한 강점이라고 밝힘.▷아울러 동사의 영업이익률(TTM 기준)은 23.5%까지 상승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 또한, 글로벌 알레르기 진단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는 구조라며, 동사는 기술 차별화와 유통망 확장, 신규 포트폴리오 진입을 통해 향후에도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노타(486990) : 한국-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 소식 속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대한무역진흥공사(코트라)와 한국경제인협회가 주관한 한국-아랍에미리트(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가 기업으로 선정돼 이재명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방문에 동행했다고 밝힘. 이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은 미래 파트너십을 주제로 AI 등 첨단산업, 방산·에너지·인프라, 문화 분야에서 아랍에미리트와 협력을 위해 추진됐다며, 이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기업 명단에 따르면 AI 분야 스타트업으로는 노타가 유일하다고 전해짐.▷이와 관련, 채명수 동사 대표는 "한국-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AI 분야를 대표하는 유일한 스타트업으로 참석하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동사의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을 앞세워 UAE의 ITS 혁신을 이끌고, 더 나아가 중동의 교통·도시·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선도하여 양국 간 AI 협력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고 밝힘.이노스페이스(462350)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등에 급등▷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2,240원임.▷한편, 전일 동사는 언론을 통해 두바이 에어쇼 현장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MOU)를 맺었다고 밝힘. 양사는 한국과 UAE 시장을 중심으로 우주 데이터센터 구축, 발사 및 위성 운영 연계 서비스 개발, 관련 상업화 기회 발굴 등 새로운 우주사업 영역을 공동 탐색할 예정임.RF머트리얼즈(327260) : 당분간 실적 호조 지속 전망 및 절대적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46억원(YoY 89%, QoQ -12%), 영업이익 19억원(YoY 흑전, QoQ 1%)을 기록하며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고 밝힘. 이어 글로벌 데이터센터 증축 기조에 힘입어 전방 고객인 루멘텀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실적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장기적으로도 광 증폭기가 본격적으로 필요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및 데이터센터간 원거리 연결 등이 활성화 중이고, 미국의 중국산 IT 부품 제재가 강화 추세인만큼 루멘텀 매출 전망은 밝다고 설명.▷아울러 최근 동사 주가가 급등하여 이젠 고점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지만, 결국 주가는 내년까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동사는 아직 올해 및 내년 실적 검증도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당장 전방인 루멘텀에서는 호재가 계속 생기고 있는데 동사만 기대감이 소멸할 순 없다고 설명. 루멘텀향 성장 잠재력이 RF시스템즈 인수 효과 이상임을 고려하면 절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유지]비에이치아이(083650) : 美 대형 원전 프로젝트에 SMR까지 본격 진출 임박 분석 부각에 강세▷메리츠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북미 진출이 점점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수주 황금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올해 수주 잔고는 약 1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고 수주를 기록했던 지난해 대비 50% 이상 성장했다고 밝힘. 연말까지 국내·중동에서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약 3건 있어 추가적으로 상향 조정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또한, 2027년 이후에는 원전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며, 원전 산업에서 동사는 복수기·격납건물 철판(CLP)·스테인리스 스틸 라이러(SSLW) 등 보조기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 2024~2025년 신한울 3·4호기 원전 프로젝트에서 약 1,500억원을 수주했으며, 2027년에는 체코 원전 수주도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미국 대형 원전 시장도 주목해야 한다며, 동사는 과거 도시바와 협력해 보글(Vogtle) 3·4호기, 썸머(Summer) 2·3호기에 보조기기를 공급한 바 있다고 설명. 이어 SMR 산업에서도 핵연료이송장치(FHS) 등을 공급 중으로 구체적이진 않으나 국내 EPC 회사를 통해 북미 공급을 타진 중에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고 밝힘.비나텍(126340) : 슈퍼캡 기반 고성장 지속 전망 등에 강세▷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와 내년 실적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사업은 슈퍼캡이라며, 데이터 센터에서 연료전지 발전소의 채택비중이 높아지면서 부하대응에 탁월한 슈퍼캡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고 밝힘. 여기에 미국 내 비중국산 수요 확대가 비나텍에 직접적인 수혜로 이어지고 있으며 20년 넘게 사업을 영위해온 업력이 빛을 발하는 중이다고 설명. 중국 기업들을 제외하면 국내외 슈퍼캡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은 극소수이라며, 슈퍼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현재 동사는 베트남 생산시설도 증설 중이라고 언급.▷아울러 2026년 실적은 매출액 1,357억원(+61.4% YoY)과 영업이익 157억원(+288.9% YoY)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2023년 수소연료전지가 기대감 중심으로 움직였던 때와는 달리 슈퍼캡은 실제 수요와 실적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언급. 이어 슈퍼캡 시스템 공급 추진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기대감을 높여도 좋을 전망이라고 밝힘.▷한편, 동사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30억원(+63.7% YoY)과 영업이익 26억원(흑자전환)을 달성했다며, 2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이어 뚜렷한 실적 회복세가 나타났다고 설명. 슈퍼캡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78% 성장했으며, 유럽 스마트미터기 시장에서의 판매 증가, 미국 데이터센터로의 공급확대가 주요했다고 분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8,000원[유지]에이비온(203400) : 대표이사, 주주배정 유상증자 배정 물량 전량 청약 소식 속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날부터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청약을 시작한다며, 신영기 대표이사가 배정 물량 100%를 전량 청약한다고 밝힘. ABN501의 글로벌 기술이전과 공동개발을 포함한 신약 개발 과정을 순조롭게 진행 중으로 세부 계약 조건은 비공개 협약으로 공개할 수 없지만, 동사는 파트너사와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언급.▷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빠른 시일 내에 마스터 협력계약(MCA) 체결을 가시화하고 기술이전의 불확실성을 해소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고 밝힘.피플바이오(304840) : 변경 예정 최대주주, AI 전용 엣지(Edge) 데이터 센터 건립 추진 소식에 강세▷이스턴네트웍스는 언론을 통해 최근 인수를 추진 중인 동사를 통해 국내 최초로 AI 전용 엣지(Edge) 데이터 센터 건립에 나서며 신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힘. 최근 서울 삼성동 국제업무지구 내에 AI 엣지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동사를 통해 직접 운영까지 수행하는 신규 ‘데이터센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설명. 업계에선 이를 이스턴네트웍스가 AI 데이터 기반 엣지 데이터센터 선두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전환으로 평가하고 있음.▷이와 관련, 이스턴네트웍스 관계자는 “이번 데이터센터 사업 진출은 국내 민간업계 최초로 AI 전용 엣지 데이터센터 건립에 나선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며 “이번에 인수한 동사를 통해 AI 전용 엣지 데이터센터 사업을 지속 운영 및 확대해 나가며 선제적으로 시장 내 회사의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신흥에스이씨(243840) : 美 ESS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6년 매출 5,097억원(전기대비 +23.71%), 영업이익 244억원(전기대비 +2,611.11%)으로 실적 턴어라운드에 시동을 걸 것이라며, 미국 스타플러스 공장의 전기차와 ESS 라인 본격 가동에 따른 동사 미국법인의 흑자전환이 실적 개선의 주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데이터센터용 BBU에 수요되는 원통형 CID 매출은 지난 2분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내년에도 물량 증가 25% 이상이 예상된다고 분석.▷아울러 내년 실적기준 PBR 0.7배라며, 국내 배터리 배터리 소재/부품업체들 중 PBR 1배 이하는 찾기 어렵다고 언급. 글로벌 ESS 시장 확대로 각형 배터리 부품 수요 증가 감안하면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낮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000원[유지]오로라(039830) :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강세▷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메리 메이어 인수 효과, 팜팔스 판매 호조,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올해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이는 2025E PER 7.0배로 글로벌 Peer 대비 저평가 영역이며, 팜팔즈의 글로벌 IP화와 재무구조 개선은 향후 멀티플 리레이팅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이와 관련, 북미 시장은 동사 매출의 약 60~70%를 차지하는 핵심 지역으로 동사는 2024년 6월 미국 프리미엄 유아완구 업체 메리 메이어(Mary Meyer)를 인수하며 영유아용 프리미엄 완구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고 밝힘. 자체 브랜드 팜팔스(Palm Pals)는 북미 시장에서 Z세대를 중심으로 수요가 가파르게 성장 중에 있다고 설명. 메리 메이어의 기존 유통망을 활용해 브랜드의 유통망을 넓혀가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과 콘텐츠화(IP 영상화, 웹툰 등)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성일하이텍(365340) : 메탈가 반등과 유럽 물량 확대로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삼성증권은 11월 현재 동사의 업황과 관련한 큰 변화중의 하나는 주요 메탈 재료의 급등세라며, 코발트는 9월말 대비 39% 급등했고, 리튬은 동기간 24% 상승했다고 밝힘. 니켈이 4% 하락했으나 리사이클 제품의 절반 가까이 되는 메탈 가격 상승으로 4분기는 판가 상승에 따라 3분기 대비 손익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설명.▷아울러 유럽의 배터리규정에 따라 올해말까지 유럽의 리튬배터리의 재활용률 목표(65%)를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리사이클링의 원재료인 블랙매스에 대한 비OECD 국가로의 수출이 금지된 상황이라고 밝힘. 이에 따라 유럽의 주요 재활용업체로부터 연간 11,000톤 규모의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예상되고, 이를 반영하면 가동률은 3분기 기준 50%선에 내년 70% 중반대까지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이러한 상황에서 4분기는 메탈가격 변화에 연동된 판가 상승으로 적자가 개선될 가능성이 높고, 내년은 올 하반기 체결된 매입 물량이 본격 투입되면서 온기 흑자 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네오이뮨텍(950220) : 얀센 신약 병용 임상 美 FDA 승인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MM)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얀센의 BCMA CAR-T 치료제(Cilta-cel, 상품명 카빅티)와 NT-I7(Efineptakin Alfa)의 병용 임상시험(NIT-128)의 임상시험계획(IND)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됐다고 밝힘. 이번 임상은 재발, 불응성 다발성골수종(MM)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CAR-T 치료 이후 NT-I7의 안전성 및내약성을 평가하고,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 등 효능 지표를 탐색적(endpoints exploratory)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번 연구를 통해 CAR-T병용 전략의 면역 회복 및 지속 반응성 향상 효과를 입증하고, 향후 CAR-T 기반 치료의 장기 관해율을 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임.▷이와 관련, 김태우 동사 경영지원본부장은 "CAR-T 분야에서 가장 시장성이 높은 적응증은 거대 B세포 림프종(LBCL) 및 다발성골수종(MM)인데, 이번 IND 승인은 두 적응증에서 모두 임상을 개시했다는 점이 뜻 깊다"며 "FDA 승인된 CAR-T 중 지난해 전세계 매출 1~3위 제품( 예스카타, 카빅티, 브레얀지) 모두와 NT-I7 병용 임상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밝힘.아이언디바이스(464500) : 필름형 세라믹 액츄에이터 구동 SoC 개발 착수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세라믹 소재기업과 함께 '시스템반도체 수요연계 온라인 플랫폼 지원사업'의 대상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 전문기관으로 운영하고 한국반도체연구조합이 주관하는 해당 사업은 시스템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있는 기업과 관련 기술을 갖춘 반도체 공급 기업을 매칭하고 상용화 추진을 위해 사업비를 지원해 주는 사업이라고 언급. 여기서 동사는 디스플레이 사운드 구현을 위해 기존 칩 IC(집적회로)의 구동 전압 한계를 뛰어넘는 필름형 세라믹 액츄에이터를 고전압·고정밀로 드라이브할 수 있는 SoC(System-on-Chip)를 개발한다고 설명.차바이오텍(085660) : 차바이오그룹, 카카오헬스케어 인수 추진 소식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카카오 대상 2,400,192주(2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2,499원, 상장예정:2026-01-08) 공시.▷차바이오그룹에 인수된 제이준코스메틱, 전일 장 마감 후 사업 영역 확대 목적으로 주식회사 카카오헬스케어 주식 2,121,790주를 99.99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6.58%, 취득예정일:2025-12-23). 또한, 사업 영역 확대 목적으로 주식회사 카카오헬스케어 주식 5,304,476주를 249.99억원에 추가로 양수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6.58%, 취득예정일:2025-12-23) 공시.▷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계열사인 차케어스와 차AI헬스케어(구 제이준코스메틱)와 함께 카카오헬스케어의구주 인수 및 유상증자 참여 형태로 총 800억원을 투자할 예정. 이번 지분 교환 및 유증 이후 카카오헬스케어의 지분 구조는 차케어스·차AI헬스케어 43.08%, 카카오 29.99%, 외부 투자자 26.93%로 재편된다고 전해짐. 동사가 두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만큼 차바이오그룹이 카카오헬스케어의 사실상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 것임.클래시스(214150) : 日 클래시스 글로벌 서밋 행사를 통해 아시아 핵심 시장 공략 가속화 소식 속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시아 의료진 및 업계 전문가 초청 행사를 일본에서 개최해, 일본 직영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고 아시아 핵심 시장 확장을 더욱 가속화한다고 밝힘. 동사는 일본 페어몬트 도쿄 호텔에서 지난 11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일본 및 아시아 의료진을 초청, 클래시스 글로벌 서밋 재팬 행사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 행사는 2024년 클래시스 재팬 설립 이후 일본에서 개최하는 첫 대규모 글로벌 행사로 일본 직영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고, 아시아 시장 내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음.▷일본 외 아시아 핵심 시장의 주요 의료진 150여명이 참석한 CGCS Japan 행사에서 동사는 신규 출시 장비인 쿼드세이와 볼뉴머, 울트라포머 MPT(국내 허가명: 슈링크), 등 국가별 성공 사례를 공유해 클래시스가 갖고 있는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것으로 알려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일본 및 아시아 시장은 클래시스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략 시장이다.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한 노력은 물론, 기존 핵심 시장에서의 마케팅 및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아시아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할 계획이다"고 밝힘.크라우드웍스(355390) : 산업부 'M.AX 얼라이언스' 참여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출범한 대규모 민관 협의체 'M.AX(Manufacturing AX) 얼라이언스'에 참여한다고 밝힘. M.AX 얼라이언스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국내 대표 제조기업을 비롯해 AI 전문기업, 학계, 공공기관 등 1,000여개 기관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제조혁신 프로젝트임. 이번 얼라이언스에서 동사는 제조 AI의 성능과 신뢰도를 결정짓는 고품질데이터 구축 역할을 담당하며, 제조 데이터에 최적화된 데이터 설계 및 구조화, 멀티모달 데이터 수집 및 정제 등 자사의 데이터 엔지니어링기술 역량을 제조 기업에 적용할 계획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김우승 대표는 "제조 인공지능 전환(AX)의 출발점은 AI가 학습할 수 있는 고품질 데이터와 이를 평가,검증할 수 있는 체계"라며 "그동안 축적해온 AI 데이터 구축,검증 기술을 바탕으로 M.AX 생태계에 신뢰 가능한 데이터 인프라를 제공하고, 국내 제조업이 AI 기반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힘.딥노이드(315640) : RSNA 2025서 연구 초록 5편 채택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RSNA 2025(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25)에서 연구 초록 5편이 채택됐다고 밝힘. 이번에 채택된 초록은 총 5편으로, 각 내용은 서로 다른 모달리티를 다루고 있지만 모두 의료 AI 모델의 신뢰성, 해석 가능성, 임상적 재현성을 다루며 이를 고도화하려는 점에서 목적을 같이 한다고 설명. 단순히 AI 모델의 성능 향상 연구를 넘어 실제 임상 문제 해결과 실사용 가능성을 입증한 연구로 학문적 의의를 인정받았다고 밝힘.▷아울러 동사는 이번 RSNA에서 이달 30일부터 12월 3일까지 전시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며, 부스에서는 글로벌 의료인, 병원 관계자, AI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뇌혈관 질환 진단 보조 AI 솔루션 ‘딥:뉴로(DEEP:NEURO)’, 생성형 AI 기반 흉부 X-ray 판독 소견서 초안 생성 솔루션 ‘M4CXR’ 등 의료 AI 솔루션 2종을 직접 소개 및 시연할 예정. 부스 운영을 통해 학술적 성과 공유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을 다져가겠다는 전략임.▷최우식 대표는 “이번 다수의 초록 채택은 의료 AI 트렌드를 주도하는 글로벌 무대인 ‘RSNA’에서 동사의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이번 학회를 통해 글로벌 잠재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피드백을 확보하는 한편, 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기회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밝힘.알테오젠(196170) : 파트너사 MSD, '키트루다 SC' 유럽 품목 허가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파트너사 MSD(미국/캐나다 내 기업명 Merck)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키트루다 SC(KEYTRUDA SC)'의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힘. 키트루다 SC에 활용된 베라히알루로니다제 알파(알테오젠 제품명: ALT-B4)는 동사가 개발·제조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로, 기존 정맥주사 제형의 의약품을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임.▷이번 승인은 MSD가 지난 9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피하주사(SC) 제형의 키트루다에 대한 품목 허가 긍정 의견(positive opinion)을 획득한 후 이어졌으며, 또한 미국 FDA로부터 피하주사 제형 키트루다(미국 제품명: 키르투다 큐렉스, Keytruda Qlex) 제품에 대한 허가를 같은 날 받아 미국 내 상업화를 개시했다고 설명.▷박순재 대표이사는 "이번 성과는 기존 기술수출 파트너사와의 협력은 물론, 신규 파트너사에게도 신뢰할 수 있는 중요한 레퍼런스로 작용해 향후 파트너십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환자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노을(376930) : 진단솔루션 MDSAP 인증 획득 소식 속 미국,캐나다,브라질 시장 진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제 의료기기 단일 심사 프로그램인 MDSAP(Medical Device Single Audit Program)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인증은 동사의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 '마이랩(miLab) MAL'과 자궁경부암 진단솔루션 '마이랩(miLab CER)'을 제조하는 품질경영시스템(QMS)이 미국,캐나다,브라질 3개국의 의료기기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해 국제 기준에 부합함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동사는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의료기기 제조시설에 부여하는 MDSAP 인증 획득을 통해 미국,캐나다,브라질 시장 진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임.▷이와 관련, 임찬양 동사 대표는 "이번 MDSAP 인증으로 노을은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의 우선순위인 북미 시장 진입을 앞당길 수 있는 핵심 마일스톤을 달성했다"며, "FDA 인허가의 핵심 조건인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선제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향후 미국을 포함한 북미 지역의 인허가 절차가 훨씬 더 신속하고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언급. 이어 "동사는 이번 인증 획득을 기점으로 미국, 캐나다,브라질 등 주요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앞당기고,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덧붙였음.에프앤가이드(064850) : 금융 정보 플랫폼으로 도약 본격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지엘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안정적 실적 성장 속에서 인공지능(AI)·상장지수펀드(ETF)·지수 개발 등 사업을 강화하며 금융 정보 플랫폼으로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9.37% 증가한 259억 원, 영업이익은 29.8% 늘어난 68억 원을 기록했다며, 전 사업부의 고른 성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고, 적자 관계사 정리 과정에서 순이익 역시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아울러 동사는 안정적인 실적을 기반으로 AI 기반 신규 서비스(대규모 언어모델(LLM)) 사업을 추진해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영역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언급. 또한, 채권·해외주식 ETF 및 가상자산 지수 개발을 통해 인덱스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구축과 데이터 전문성 강화를 통해 차별화된 금융 정보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율호(072770) : 주식병합 결정 속 하락▷전일 장 마감 후 1주당 가액 500원을 2,500원으로 병합하는 주식병합 결정(상장예정:2026-01-27) 공시.삼영엠텍(054540) : 총 137억원 규모 신주인수권부사채권 및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하락▷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본 건 펀드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등 대상으로 90.00억원 규모의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권 발행 결정(행사가액:18,760원, 행사청구일:2026-11-27 ~ 2030-10-27) 공시. 또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하나은행(본 건 펀드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등 대상으로 47.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8,760원, 전환청구일:2026-11-27 ~ 2030-10-27) 공시. 보통주 870,000주(136.0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11-20~2025-11-28) 공시.@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11-20 11:30:31조회수:112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5.10.14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4151
톡스타톡속보 2025-10-14 151

25.10.14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4152
톡스타톡속보 2025-10-14 152

25.10.14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4152
톡스타톡속보 2025-10-14 152

25.10.13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3152
톡스타톡속보 2025-10-13 152

25.10.13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3151
톡스타톡속보 2025-10-13 151

25.10.13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3152
톡스타톡속보 2025-10-13 152

25.10.1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0151
톡스타톡속보 2025-10-10 151

25.10.10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0152
톡스타톡속보 2025-10-10 152

25.10.10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10153
톡스타톡속보 2025-10-10 153

25.10.02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2152
톡스타톡속보 2025-10-02 152

25.10.02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2151
톡스타톡속보 2025-10-02 151

25.10.02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2151
톡스타톡속보 2025-10-02 151

25.10.01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1152
톡스타톡속보 2025-10-01 152

25.10.0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1151
톡스타톡속보 2025-10-01 151

25.10.01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10-01151
톡스타톡속보 2025-10-01 151

25.09.3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9-30152
톡스타톡속보 2025-09-30 152

25.09.30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9-30153
톡스타톡속보 2025-09-30 153

25.09.30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9-30153
톡스타톡속보 2025-09-30 153

25.09.29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9-29152
톡스타톡속보 2025-09-29 152

25.09.29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9-29153
톡스타톡속보 2025-09-29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