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화이자(PFIZER), 조선기자재, 조선,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건설 대표주,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엠폭스(원숭이두창), 미용기기,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증강현실(AR),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피팅(관이음쇠)/밸브,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유리 기판, 가상현실(VR), 지역화폐, 초전도체, 종합상사, 무선충전기술,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드론(Drone), 증권, NI(네트워크통합), 비만치료제, 마이크로 LED, 제약업체,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등... 약세 테마: 전선, 편의점, 맥신(MXene), 홈쇼핑, 조림사업, 수산, 전력설비 등... <특징 테마> 조선 등: 한미 협력 기대감 및 하반기 상승 추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장성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은 이날 미국에 도착해 미국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 등과 제2차 기술협의(technical discussions)를 진행중이라고 전해짐. 이번 회의는 지난달 30일부터 5월1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린 1차 기술협의 이후 19일만에 진행된 가운데, 한국 측은 미국산 수입 확대를 통한 무역 균형 추구 의지와 미국 측이 큰 관심을 보이는 조선 중심의 전략적인 한미 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관세 인하 및 면제의 당위성을 역설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상반기 한국 조선업체들의 주가는 시장 수익률을 크게 상회하는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하반기에도 이러한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추정. 하반기 수주 규모 측면에서는 상반기 대비 개선될 가능성이 높으며, 정책적 지원과 실적 개선 효과가 연말로 갈수록 누적될 전망이라고 밝힘.▷특히, 하반기 핵심 수주 선종은 LNG선과 해양플랜트가 될 것으로 전망. 미국을 필두로 글로벌 LNG 개발과 사용 확대 정책이 결합하면서, LNG선의 구조적인 수요 증가는 2026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 또한, 글로벌 LNG 프로젝트 규모가 예상보다 확대되고, 미국의 중국 조선소 견제 정책까지 더해져 LNG선 슬롯 소진에 따른 선가 상승 여력도 존재한다고 언급. 이어 해양플랜트의 경우에도 FPSO(부유식 원유 생산 설비) 및 FLNG(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설비) 수요가 증가 중인 가운데, 건조 가능한 조선소가 부족해 한국 조선소들의 해양플랜트 수주 증가와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세진중공업, 오리엔탈정공, HD현대마린엔진, 일승,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J중공업 등 조선/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코로나19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지속 등에 상승▷중국 대륙과 홍콩에서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태국, 싱가포르 등에서도 재확산 조짐이 보이고 있음. 태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11일부터 17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3만 3,030명으로 전주의 1만6,000여명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늘었다고 전해짐. 싱가포르도 이달 들어 약 1년 만에 처음으로 감염자 통계 업데이트를 발표할 정도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싱가포르의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한 주간 추산 확진자 수는 1만4,200명으로 직전주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홍콩에서는 최근 4주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30명에 이르렀고 확진 비율은 1년 만에 최고치인 13.7%로 증가했으며,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양성률이 지난 3월30일~4월6일 7.5%에서 5월4일~10일 16.2%로 높아졌음.▷한편, 20일(현지시간) 미 식품의약국(FDA)이 저위험군에 대한 매년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 방침을 사실상 금지했음.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비나이 프라사드 FDA 백신 부서장과 마틴 마카리 FDA 국장이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기고한 글에서 이미 백신을 맞았거나 코로나에 걸렸던 사람들에 대한 추가 접종 이익이 "확실하지 않다"고 언급. 이어 "FDA는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백신을 승인하지만 저위험군에 대해서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음.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는 모더나(+6.06%), 화이자(+2.25%) 등 일부 백신 관련주가 상승.▷니파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우려도 지속되고 있음.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이 이르면 오는 7월 새 1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될 예정이라고 알려짐. 니파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유래해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국내에선 감염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 매년 다양한 지역에서 환자가 발생해 지금까지 22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음.▷이 같은 소식 속 그린생명과학, 더바이오메드, 수젠텍, 케이바이오, 셀리드, 삼천당제약, 서울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아이진, 미코, 랩지노믹스, 우정바이오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삼성, 우주사업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전일 언론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서울대와 우주 발사장 건설을 위한 R&D 시설 구축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짐. 발사장 건설은 우주 후방산업의 핵심 분야로 꼽히고 있으며, 올해 초 삼성전자의 선행 연구개발 조직인 삼성리서치가 우주 전문가를 처음으로 채용한 것도 이런 배경인 것으로 알려짐.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 수요는 지난 10년(2012~2021년) 동안 5,519기였으나 이후 10년(2022~2031년) 간 2만4,468기로 343%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전일 장 마감 후 AP위성은 Thuraya Telecommunication Company와 51.8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8%) 규모 공급계약(위성통신단말기 납품(No.100951)) 체결(계약기간:2025-05-12~2025-11-15) 공시.▷이 같은 소식에 AP위성, 쎄트렉아이, 비츠로테크, 루미르, 파이버프로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글로벌 각국 국방비 지출 확대 전망 및 이스라엘, 이란 핵시설 타격 정황 포착 소식 등에 상승▷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에 대응하여 NATO 파트너국 및 기타 연합국가들이 동맹을 강화해 방위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글로벌 방산업체들의 현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이에 유럽과 중동을 중심으로 국방비 지출 확대 기조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아울러 러시아의 다음 목표가 될 수 있는 지역은 발트 3국과 벨라루스 바로 옆 폴란드, 크림반도에서 배로 타고 올 수 있는 루마니아라며, 폴란드에 이어 루마니아가 대표적인 차기 수출 시장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 특히, 루마니아의 방산 시장은 NATO 및 EU 회원국으로서 전략적 위치 덕분에 동유럽, 흑해 그리고 중동 지역의 전통적인 안보 환경과 관련성이 높다고 설명. 루마니아가 승인한 2024-2030 국가 방위산업 전략은 루마니아의 방위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방침으로 한국 등 외국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첨단 기술과 노하우를 유치하여 5세대 전투기를 도입하는 등 육해공 군사력 증강 및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어 주목해야 할 시장 중 하나라고 밝힘.▷한편,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을 독자적으로 타격할 준비에 들어갔다는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의 군 통신 감청 등 정보 활동을 통해 이란 핵시설 공격 준비 정보를 입수했으며, 이스라엘은 핵시설 타격에 필요한 무기를 이동하고 작전 실행을 위한 공군 훈련도 완료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음. 다만, 이 같은 움직임은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격이 임박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라기보다는 이란에 대한 심리적 압박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음.▷이에 금일 쎄트렉아이, 대양전기공업, 엠앤씨솔루션, SNT모티브, 퍼스텍, 제노코, 현대로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증권: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6월 대선을 앞두고 증권주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힘. 이는 이전 정부에서도 집권 초기에는 정치 불확실성 완화 목적으로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제시했기 때문이라며, 당시 시장 거래대금, 신용잔고, 증권업 주가는 강세를 보였고 증권업 PBR은 약 0.9배에 근접했다고 설명. 현재 증권업 PBR은 0.5배에 있다며, 영업환경에는 일부 차이가 있겠으나 과거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면 업사이드는 높을 것이라고 밝힘.▷또한, 증권업 내에서도 해외주식 시장 성장, 대체거래소 NXT(넥스트레이드) 출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눈에 띄고 있다며, 그중에서도 증권사 IB 영업 활성화와 이자손익 확대를 가져올 수 있는 발행어음-IMA 제도 개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현재 삼성증권, 키움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은 발행어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은 IMA 인가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2026년 사업 개시를 전망한다고 밝힘.▷금일 국내 증시가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속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이에 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다올투자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구글, 삼성전자·젠틀몬스터와 스마트안경 시장 재도전 소식에 상승▷구글은 20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I/O 2025'에서 삼성전자, 젠틀몬스터, 워비 파커가 참여한 안드로이드 XR 기반 스마트안경을 연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밝힘. 구글은 지난 2013년 '구글 글래스'라는 이름의 스마트안경 제품을 시범 출시한 적 있으나 성과 부진으로 2015년 단종된 바 있지만, 최근 인공지능(AI)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구글은 시장 재진입을 선언했음. 구체적으로 삼성전자가 스마트안경 하드웨어 제조를 맡고 젠틀몬스터는 디자인을 맡을 계획으로 이는 메타가 레이벤과 협업해 스마트안경을 만드는 것과 같은 방식임.▷이 같은 소식 속 케이쓰리아이, 라온텍, 뉴프렉스, 케이이엠텍, 이랜텍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테마가 상승.양자암호/양자컴퓨팅: 美 디 웨이브 퀀텀(+25.93%) 급등 영향 및 아이씨티케이,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 선정 소식 등에 상승▷20일(현지시간) 디 웨이브 퀀텀(QBTS)은 2020년 9월 양자컴퓨터 시스템 어드밴티지를 출시한 이후 4년여 만에 6세대 양자컴퓨터 시스템 ‘어드밴티지2’를 공개했음. 디 웨이브 퀀텀 측은 이번 발표가 단순한 신제품 공개를 넘어 전통적인 GPU기반 슈퍼컴퓨터의 성능을 능가하는 '양자 우위'에 도달했음을 뜻한다고 강조.▷디웨이브 관계자는 "현재 자사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어드밴티지2를 서비스하고 있다"면서 "이 시스템으로 물류, 공급망 최적화 등 기존 컴퓨터로는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 이어 앨런 바라츠 디웨이브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출시는 자사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팅 산업의 이정표"라고 밝힘. 이에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디 웨이브 퀀텀의 주가가 25.93% 급등 마감하는 모습.▷금일 아이씨티케이는 언론을 통해 'WIPO 글로벌 어워드 2025'의 최종 후보에 올랐다고 밝힘. 특허분야의 노벨상이라고도 불리는 WIPO 글로벌 어워드는 유엔 산하인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의 주최로 진행되는 시상 프로그램으로, WIPO 글로벌 어워드의 최종 수상 기업은 올해 7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발표될 예정임.▷이와 관련, 아이씨티케이 관계자는 "글로벌 보안 시장에서 아이씨티케이의 입지를 강화해 나가는 데 힘쓰고 있으며, 특히 이번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에 선정되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 기업으로서 인지도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아이씨티케이, 엑스게이트, 에이엘티, 우리로, 케이씨에스, 한국첨단소재, 코위버, 쏠리드, 우리넷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의료AI: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동물대체시험활성화법 제정 추진 언급 소식에 상승▷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발표. 이 후보는 "분산된 동물 관련 업무를 통합하기 위해 '동물복지기본법'을 제정하고, 동물복지진흥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이어 "'동물대체시험활성화법'을 제정해 실험동물 희생도 줄이겠다"고 언급.▷이 같은 소식 속 로킷헬스케어, 신테카바이오, 인성정보, 셀바스AI, 온코크로스 등 의료AI 테마가 상승. 또한, 동물실험 없이도 인체특성을 모사한 ‘오가노이드’ 기반 신약평가 솔루션 ‘오디세이’를 보유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도 시장에서 부각.자율주행차: 머스크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내달 출시 언급 속 상승▷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서비스를 내달 중 출시한다는 계획에 거듭 자신감을 드러냈음. 이와 관련, 20일(현지시간) 머스크는 미 경제전문 케이블방송 CNBC 인터뷰에서 '6월 말까지 텍사스주 오스틴 도로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현재 운전자가 탑승한 채로 테스트 중인 가운데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없이 주행되고 있다"고 밝힘. 이어 현재 오스틴에서 수천 대의 차량으로 자율주행을 테스트 중이라며 "다음 달에 오스틴에서 잘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으며, "첫 주에는 10대로 시작해 20대, 30대로 점차 늘려가면서 아마 몇 달 내에 1,000대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음.▷이 같은 소식 속 퓨런티어, 라이콤, 슈어소프트테크, 모트렉스, 켐트로닉스, MDS테크, 세코닉스 등 자율주행차 테마가 상승.반도체 관련주: 5월1~20일 반도체 수출 증가 등에 상승▷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까지 수출액은 320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 감소한 가운데, 반도체 수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10개 주요 수출품목 중 석유제품, 가전제품 등 8개 품목에서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는 17.3% 증가세를 기록. 반도체 수출 비중은 22.7%로 3.8%p 증가.▷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 최대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Computex 2025)’에 마련된 SK하이닉스 부스를 깜짝 방문했음. 황 CEO는 부스를 둘러본 뒤 “SK하이닉스가 잘하고 있다”며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고, “HBM4를 잘 지원해달라”고 밝힘. 업계에선 이를 두고 SK하이닉스가 HBM4의 최종 공급사로 낙점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음.▷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리노공업, 에이엘티, 테스, 제이엔비, 와이씨켐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세진중공업(075580): 1분기 실적 호조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연결 영업실적은 매출액 985억원(YoY +14.4%, QoQ -11.5%), 영업이익 178억원(YoY +317.9%, QoQ -23.0%, OPM 18.1%)을 기록하며 조선, 조선기자재 상장사 중 가장 좋은 수익성을 기록했다고 밝힘. 1분기 호실적의 주요 요인으로는 한화오션 데크하우스 및 엔진케이싱 물량 200억원 중 일부 추가 정산금이 반영되고, 고수익성의 LCO2c 탱크 인도에 따른 매출 인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아울러 올해 기준으로도 동사의 현재 주가는 PER 12.4배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조선, 조선기자재 동종사 대비 과도하게 저평가된 상태라 판단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500원 -> 14,000원[상향]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특허소송 승소 소식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화이자가 제기한 ’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PCV 13)' 특허침해금지 소송에서 대법원 최종 승소 판결을 받았다고 밝힘. 이에 동사는 동남아·중남미 등 백신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개별접합체 원액 공급을 비롯해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며, 현지 기술이전도 함께 추진할 예정임.▷이와 관련, 안재용 동사 사장은 "이번 판결은 국내에서 개발된 경쟁력 있는 백신이 사장되지 않고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된 의미있는 결과"라며, "이를 계기로 프리미엄 백신의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백신 시장의 공급 안정성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힘.현대로템(064350): K2 전차 추가 수주 가능성 분석 등에 상승▷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폴란드 2차 수주 이후 K2 전차의 추가 수주 가능성이 주가 리레이팅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 폴란드 K2 전차 기 수주분은 82대가 2025년에 출고 예정이며, 1분기에 조업일수 감소에 따른 영향을 받았으나, 2분기부터 회복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 또한, SITDEF 2025에서 주목받은 것은 K2 전차로, 페루 수주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남미에서 고객 기반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힘. 페루는 노후화된 러시아 T-55 전차를 대체하고자 K2전차를 후보군으로 선택, K2전차 양산을 위한 현지 참여까지 요구하고 있어 연내 수주 기대감인 큰 상황이라고 설명.▷아울러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연내 신규 계약이 기대되는 프로젝트는 캐나다 Edmonton 트램 최대 53대를 공급하는 프로젝트이며, 향후 호주 고속철도망 구축에서도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장기적으로 레일솔루션 사업부에서 좋은 실적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부품과 전장품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에 올해 하반기 역시 실적 공백 없이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한편, 동사는 이달 28~31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 해양 방위산업 전시회 ‘2025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해 유무인 복합체계 대표 제품인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 등을 선보일 예정.진흥기업(002780): 470.00억원 규모 공사 수주에 상승▷케이비부동산신탁 주식회사와 47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47%) 규모 공급계약(가락7차 현대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 공시.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글로벌 CDMO 수요 확대 속 경쟁력 보유 분석 및 美 생물보안법 수혜 전망 등에 상승▷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항체 및 생물학적 제제 생산 CDMO를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며, 꾸준한 수요가 불확실한 글로벌 제약사는 고정비가 높은 공장 설비를 자체로 갖기보다 글로벌 CDMO로 외주방식으로 원료 의약품을 생산한다고 언급.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기준이 필요한 생산설비,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글로벌 제약사의 수요에 맞춰 동사는 트랙레코드에 따라 수주잔고를 지속적으로 확대중이라고 밝힘.▷아울러 바이오시밀러 개발/출시의 증가와 시밀러 산업에 대한 매크로 수혜로 CDMO에 대한 수요도 같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바이오시밀러는 개발 시 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빠른 출시가 중요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은 CDMO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설명. 동사는 CDMO대비 경쟁력 있는 수주단가와 낮아진 리스크로 경쟁력을 갖추는 중이라며, 생물보안법도 하반기 매크로 정책적 수혜가 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00,000원[유지]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기업가치 상승 전망 등에 상승▷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721억원(전년동기대비 +71.8%), 영업이익 881억원(전년동기대비 +139.3%), 별도기준 영업수익은 85억원(전년동기대비 -73.0%), 영업이익은 12억원(전년동기대비-95.1%)을 기록했다며, 기업가치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이어 주요 종속회사 지분율 확대를 지속하고 있고, 현대이지웰 지분율 확대를 통해 연결종속회사로 편입하였으며, 주요 종속회사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 따라 지배력이 견고해지고 있기 때문에 동사의 기업가치 상승이 추가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000원 -> 8,500원[상향]카카오(035720): 하반기 AI 기반 모멘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전일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부터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며, 우선 AI 메이트가 내장된 새로운 메신저인 카나나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AI 메이트는 단체 채팅방에서 대화의 맥락을 이해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개인화된 답변을 제공한다고 설명. 이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OpenAI와의 협력을 통해 제작 중인 AI 에이전트와 커머스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AI 메이트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상반기까지 실적은 다소 부진하겠지만 하반기부터 시작될 AI 기반의 모멘텀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9,000원[유지]오리온(271560): 중국 법인 영업이익 감소에 따른 4월 잠정 실적 부진 등에 하락▷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4월 법인별 합산 실적은 매출액 2,646억원(+8.5% YoY), 영업이익 426억원(-1.8% YoY, OPM 16.1%)을 기록했다고 밝힘. 중국 법인은 매출액 1,060억원(+2.6% YoY), 영업이익 191억원(-10.7% YoY, OPM 18.0%)을 기록했다고 언급.▷베트남과 러시아가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춘절 이후 재고 처리를 위한 경쟁사들의 프로모션 비용 지출 영향으로 시장 경쟁이 심화된 중국 법인의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분석. 아울러 시장 내 동사의 명절 재고 물량은 모두 소진된 것으로 확인되나, 당분간 경쟁사들의 재고 소진을 위한 시장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SK이터닉스(475150): 829.02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도 결정 속 약세▷전일 장 마감 후 829.02억원 규모 유형자산(엠케이 외 64건(총 65건: 자산양도 2건, 지위이전 63건) 등 기타 유형자산) 양도 결정(양도기준일:2028-03-31)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위츠(459100): 초박형 무선 충전솔루션, 삼성 갤럭시 S25 엣지에 탑재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초박형 무선 충전솔루션이 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 S25 엣지(Edge)에 탑재됐다고 밝힘. 동사는 갤럭시 S25 엣지의 슬림한 디자인에 맞춰 무선 충전솔루션 두께를 최소화시킨 초박형 회로 설계를 구축했으며, 슬림폰 전용 구조의 무선 충전솔루션을 적용시킴으로써 편리성은 물론 내구성을 높였음.▷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가 최단기간 100만대 판매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갤럭시 S25 엣지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초박형 무선 충전솔루션의 지속적인 공급 이외에도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힘.AP위성(211270): Thuraya Telecommunication Company와 51.84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전일 장 마감 후 Thuraya Telecommunication Company와 51.8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8%) 규모 공급계약(위성통신단말기 납품(No.100951)) 체결(계약기간:2025-05-12~2025-11-15) 공시.젬백스(082270):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2인 이상 치료목적 사용승인 소식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치료목적 사용승인은 다른 치료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에 대해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제도로, 동사가 승인받은 내용은 2인 이상 25인미만 환자 대상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치료목적 사용승인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한 PSP 환자들이 연장 임상시험 종료 후에도 GV1001을 투여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을 통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치료제가 없는 질환을 앓 고 있는 환자의 치료 기회를 넓히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힘.휴젤(145020):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매출액은 4,330억원(+16.1% YoY), 영업이익 2,019억원(+21.5% YoY)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EPS 25배로 거래 중이라며, 단기 주가 급등에 따른 부담은 있으나 국내 에스테틱 peer 기업인 파마리서치와 클래시스 평균 28배 대비 낮은 멀티플을 받고 있어 주가 상승여력은 충분하다고 분석.▷아울러 올해 3월 미국 레티보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중국 파트너사의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 심리 악화는 오히려 긍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며, 고가의 제품 대비 중저가인 레티보를 선택하는 소비자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밝힘.▷한편, 동사의 1Q25 매출액 898억원(+20.9% YoY), 영업이익 390억원(+62.6% YoY)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고 밝힘. 1Q25 미국향 톡신 매출은 부재하였으나, 국내 인바운드 의료 시술 증가로 국내 톡신 및 필러 매출이 모두 성장했다고 언급.▷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10,000원 -> 480,000원[상향]엔켐(348370): 오정강 동사 대표이사, 자사주 6,000주 매입에 강세▷전일 주식등의 대량보유자(최대주주 오정강) 소유주식수 변동(장내매수 6,000주) 전자공시. 평균 매입 단가는 주당 59,000원 수준이며, 매입 금액은 약 3.54억원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매입은 회사의 펀더멘털과 향후 실적 회복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책임경영의 실천"이라며, "대표이사가 주주와 이해관계를 직접 공유하며 회사 가치를 함께 제고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 이어 "경영진이 직접 시장에서 주가 부양을 위한 실질적 행동에 나섰다는 점에서 주주 신뢰 확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동사는 앞으로도 차별화된 기술력과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흔들림 없는 성장 전략을 이어가겠다"고 밝힘.아이티센엔텍(010280):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고성장에도 저평가, 제4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모멘텀 분석 등에 강세▷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동사에 대해 1Q25 연결기준 매출액1,119억원(+64.6%, YoY), 영업손실 5억원(적자지속, YoY)을 기록했다며, HUG(주택도시보증공사), NICE(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수자원공사 등 작년 하반기 수주한 대규모 프로젝트들의 매출이 인식되면서 전년대비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시현했다고 밝힘. 또한, 자회사 아이티센클로잇 역시 작년 하반기 수주한 삼성전자향 구글 클라우드 MSP사업 매출이 인식되면서 전년대비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고 설명.▷1Q25 개별기준 실적은 매출액 603억원(+33.0%,YoY), 영업이익 34억원(+2,473%, YoY), OPM은 5.6%를 기록했는데, 1분기가 비수기임을 감안할 때 작년온기 OPM 5.7%와 유사한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한 것이 고무적이라고 밝힘. 이는 정부 및 지자체의 디지털, 클라우드 전환 수요 증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더해 상대적으로 삼성, 현대그룹사 등 수익성이 높은 민간 분야 프로젝트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반면, 현 PER은 4배 수준의 저평가 국면에 있다며, 특히 시가총액 만큼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기존 호실적에 따른 기업가치 저평가, 풍부한 현금 보유, 클라우드 산업 성장 기대감 외에도 제4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대한 모멘텀까지 있는 상황이라고 밝힘.바이젠셀(308080):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개발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제대혈 줄기세포 증폭기술 기반 차세대 골수성억제세포 이용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과제가 2025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국책사업 선정을 통해 CBMS의 대량증폭 및 임상용 치료제 개발, 상업용 임상 1·2a상 시험(SIT) 계획 승인까지의 전주기적 연구를 추진하며,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인 'VM-GD'의 임상 신청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 해당 국책사업 연구과제는 내년 말까지 진행되며, 총 11억7500만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고 밝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국책과제 선정으로 개선된 신규 공정에 대한 회사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라며, "VM-GD를 비롯한 개선된 바이메디어 공정 기술로 임상 진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펩트론(087010): 장기지속형 기술 경쟁력 보유 분석 및 자체 파이프라인 시판 허가 기대감 등에 상승▷현대차증권은 다양한 서방형 기술이 있는 저분자화합물과 달리 생물학적 제제는 장기지속형이 기술이 제한적이라며, 동사의 DDS 기술 중 하나인 미립구(Microsphere)기술은 다양한 물질을 장기지속형으로 개발이 가능하다고 설명. 특히, 동사의 SmartDepot™은 동결분무건조방식을 이용한 PLGA 미립구 기술이라며, 균일한 크기의 미립구를 원하는 사이즈로 개발이 가능하고 생분해성 폴리머를 초음파 분사 건조하는 방식으로 유기용매 사용이 없어 인체 이용이 용이하다고 밝힘. 또한, GMP 및 대량생산 준비까지 완료했다고 언급. 이에 Eli Lilly와 24년10월 플랫폼 기술 평가 계약을 체결했다며, 고품질 대량생산 가능, GMP 등급 시설 등이 Eli Lilly의 선택의 이유라고 설명.▷아울러 자체 품목허가 1호 LeupONE™ 시판도 대기 중이라며, 1,000만 바이얼 규모의 제2공장도 연내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증설 개시가 늦어지는 점은 Eli Lilly와의 평가도 고려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감성코퍼레이션(036620): 1분기 호실적 속 올해 실적 성장 전망 등에 소폭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1분기 매출액 467억원(+25.5% YoY), 영업이익 68억원(+48.2% YoY)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국내 소비 심리 위축에 따라 아웃도어 의류 시장 전반이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적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고 밝힘.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매장 수를 늘렸으며, 헬로키티 등 글로벌 인기 IP와의 협업 제품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며 기존 점포당 매출을 증가 시킨 것으로 분석.▷아울러 2025년 매출액 2,647억원(+20.1% YoY), 영업이익 460억원(+27.7% YoY, OPM 17.4%)을 전망.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오프라인 매장은 2024년 말 184개에서 192개까지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국내 어패럴 사업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나노(187790): 상장유지 결정으로 인한 거래재개 첫날 약세▷전일 장 마감 후 기업심사위원회 심의·의결 결과 및 상장유지 결정 안내 공시. 상장유지 결정에 따른 관리종목 해제, 주권매매거래정지해체 공시. 이에 금일 동사가 거래재개됨.▷한편, 동사는 24년4월11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사유발생)으로 거래정지 된 바 있음.에이루트(096690): 27.90% 비율 감자 결정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27.9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06-19, 상장예정:2025-07-10) 공시. 감자사유는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임.하나머티리얼즈(166090): 실적 및 주가 상승 여력 제한적 분석 등에 급락▷BN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YoY 소폭 증가한 622억원(6%QoQ, 1%YoY), OPM 15.8%(+0.2%pt YoY), 영업이익 9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올해 연간 실적은 작년 수준 또는 소폭 감소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 최근 NAND 수요가 취약함을 고려할 때 계속해서 감산이 필요해 보이며, 신규 투자가 미뤄짐은 물론 전환 투자도 속도 조절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따라서 상반기 동사 실적은 다소 밋밋한 흐름이 예상되며, 하반기는 상호관세 영향으로 수요 감소가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설명.▷동사 주가는 연초 중국 스마트폰 수요 개선과 NAND restocking에 따른 현물가격 상승에 따라, 실적 호전 기대를 바탕으로 과거 평균 Valuation 수준까지 상승한 바 있으나 최근 수요 개선은 단발성이고, 상호관세 영향으로 하반기 최종 수요 감소가 예상됨을 고려할 때, 실적도 주가도 상승 여력이 낮아 보인다고 분석.▷투자의견 : 매수 -> 보유[하향], 목표주가 : 48,000원 -> 33,000원[하향]@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5-21 11:57:06조회수: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