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국내 상장 중국기업, 엔젤산업, 스테이블코인, 도시가스, 전자결제(전자화폐), 출산장려정책, NFT(대체불가토큰), 카지노, 리튬, 음원/음반,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통신, 쿠팡(coupang), CCTV&DVR, 웹툰, 리츠(REITs), 삼성페이,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니켈 등...약세 테마 : 조선,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지역화폐, 증권, 원자력발전소 해체, 조선기자재, 전선, 화이자(PFIZER), 미용기기,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편의점, 콜드체인(저온 유통), 항공기부품, 슈퍼박테리아, 마리화나(대마), 밥솥, 수산, 전력설비, 건설기계,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2차전지(생산), 두나무(Dunamu), 골프, 야놀자(Yanolja), 원자력발전,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풍력에너지 등... [특징 테마]카지노 : 2개 분기 연속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파라다이스/롯데관광개발 실적이 컨센서스를 20% 내외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더해 한국에서는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정책 기간 확대, 마카오에서는 6월 예상치를 크게 상회한 서프라이즈가 발생하면서 실적과 밸류에이션(마카오/한국)이 모두 상향되고 있다고 분석. 이에 따라 외국인 카지노의 밸류에이션을 일본 중심의 안정적 성장(목표 P/E 15배 내외)에서 과거 파라다이스/GKL의 중국인 드랍액 고성장 구간이었던 30배 내외에서 33% 할인(아직은 기대감만 반영)한 20배로 상향 적용한다고 밝힘.▷특히, 마카오의 6월 GGR은 $26억(+19% YoY)으로 컨센서스(+9%)를 크게 상회했다고 언급. 5월에도 5% 상승하며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언론에 따르면 갤럭시의 고급 호텔 카펠라의 오픈 효과에 더해 VIP 고객층의 심리 개선으로 VIP 및 프리미엄 매스 부문의 실적 호조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 이어 주가는 4월 저점 기준으로는 평균 약 40% 내외가 반등한 상황이며, 그럼에도 2026년 예상 P/E 10~15배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롯데관광개발 등 일부 카지노 테마가 상승.증권 : 국내증시 약세 영향 등에 하락▷4일(현지시간) 美 증시가 고용 지표 호조 속 경기 둔화 우려 완화 등에 상승세를 보인 반면, 이날 국내 증시는 외국인/기관 양 매도 속 약세를 나타내는 모습. 코스피지수가 1%넘게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스닥지수는 2% 가까이 약세를 나타내고 있음.▷이는 전일 급등한 데 따른 부담감에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음. 아울러 미국 관세 불확실성도 지속되는 모습.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4일) 오후 늦게 우리 행정부가 10~12개 국가에 '그들의 상품(수출품)이 미국에서 마주하게될 관세율을 고지하는' 서한을 보내기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음.▷이에 금일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한국금융지주, 한화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증권 테마가 하락.2차전지/ 전기차/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 트럼프 '감세 법안' 입법 완료에 따른 타격 우려 등에 하락▷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입법으로 지원하는 메가법안이 3일(현지시간) 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해짐.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돼 한국 기업들이 수혜를 입은 각종 청정에너지 보조금이 당초 공약대로 조기에 폐지되거나 축소되는 것이며, 화석연료 예찬론자인 트럼프 대통령 당선 뒤로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이지만, 관련 보조금을 염두에 두고 미국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해온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국내 관련 업계의 사업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음.▷법안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원산지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차를 구매하면 받을 수 있는 최대 7천500달러의 세액공제가 올해 9월 30일 이후 종료되며, 원래 법에는 2032년 말까지 제공하도록 했으나 폐지 시한을 무려 7년 넘게 앞당긴 것임.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각종 세액공제가 축소되거나 지급 요건이 매우 까다로워지면서 이번 법안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태양광과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그런 시설에 투자하는 기업에 주는 세액공제는 2032년 이후에나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그 시점이 2027년 말로 앞당겨졌음.▷한편, 지난 2일 언론에 따르면 올해 들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K-배터리 점유율은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올해 1∼5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169.3GWh(기가와트시)로, 작년 동기보다 26% 증가했으며, 이 기간 국내 배터리 3사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합산 시장 점유율은 39.2%로 6.1%포인트 하락.▷이 같은 소식 속 원익피앤이, 에코프로머티, DI동일, 율촌화학, 코스텍시스, 에코플라스틱, LS ELECTRIC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와 한화, 광명전기, 대명에너지, 우리기술, 효성, 대창솔루션 등 태양광에너지/풍력에너지 테마가 하락.우크라이나 재건 : 트럼프 대통령, "푸틴과 우크라 휴전 논의했지만 아무 진전 없어" 발언 속 하락▷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있었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과 관련해 "아무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에게 "꽤 긴 통화였다"면서 이같이 말했으며, "우리는 이란을 포함해 많은 것들에 관해 이야기했다. 그리고 우리는 알다시피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서도 이야기했다. 난 그(우크라이나 전쟁) 부분은 불만족스럽다"고 언급.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국방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선적을 왜 중단했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무기를 주고 있지만 그동안 너무 많은 무기를 줬다"라고 언급.▷이 같은 소식 속 디와이디, HD현대건설기계, 디와이파워, 대양전기공업 등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가 하락.오후장 특징주★(코스피)셀트리온(068270) : 합병 효과 가시화 전망 등에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실적은 매출 4조3,527억원(+22%, 이하 YoY), 영업이익 1조1,113억원(+126%, OPM 2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짐펜트라 매출(1,317억원)과 영업이익을 하향 조정하지만, 여전히 제약/바이오 섹터 내 가장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분석. 특히, 2분기부터 합병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매출 증가, GPM 개선 등의 합병 효과가 보이기 시작하며 하반기 실적 기대감을 높일 것이라고 분석.▷아울러 올해 판매될 신규 제품은 유럽/북미 론칭을 마친 스테키마(스텔라라 시밀러), 악템라, 졸레어, 프롤리아 그리고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등 5건이라며, GPM은 분기를 거듭하며 개선되어 4Q25 기준 60%에 달할 것이라고 밝힘.▷2분기 실적은 매출 1조27억원(+15% YoY), 영업이익 2,418억원(+234% YoY, OPM 24%)으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4% 하회할 것으로 분석. 이는 짐펜트라 매출을 273억원으로 하향 조정했기 때문으로, 처방건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가파른 상승을 기대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유지]▷한편, 이날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는 언론을 통해 1조원의 신규 재원 한도를 확보해 동사 주식 매입과 인수합병(M&A)에 투입하겠다고 밝힘. 지분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배당을 확대해 수익을 높이는 것은 물론, 과도하게 저평가된 자회사 주주가치 제고에 지주사도 힘을 보탠다는 전략으로 알려짐. 이에 빠른 시일 내에 약 2,500억원 규모의 동사 주식을 매입할 계획이며, 연내 총 5,000억원 규모의 매입을 마무리할 예정임.KT(030200) :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7.2조원(+9.3% YoY), 영업이익은 9,065억원(+83.5% YoY, OPM 12.7%)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매출액은 컨센서스에 부합하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상회할 것이라고 분석. 이어 실적이 기대치를 상회하는 주 요인은 별도 실적에서 경쟁사 이탈 가입자 유입의 수혜가 유무선 모두 나타났고, 인건비 절감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됐으며, 일회성 부동산 분양 수익이 50% 이상으로 예상보다 크게 인식됐기 때문이라고 언급.▷아울러 가입자 변동에 따른 연간 실적 기여는 매출액 1천억원, 영업이익 500억원을 예상하며, 조직 개편에 따른 인건비 절감 효과도 연간 2천억원 이상 반영될 것으로 추정. 특히, 하반기에도 저수익 사업 효율화와 CapEx 축소 이어지며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결산 배당 확대 기대감 또한 유효하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3,000원 -> 69,000원[상향]SK텔레콤(017670) : 과기정통부, 해킹 사태 관련 동사 과실 인정 소식에 소폭 하락▷언론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동사의 유심(USIM) 해킹 사태를 조사한 정부는 사측이 유심 정보보호를 위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판단해, 고객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할 때 부과되는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동사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조사단)의 조사결과를 발표했음. 조사단은 지난 4월23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 동사 전체 서버 4만2,605대를 대상으로 BPFDoor 및 타 악성코드 감염여부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시행했으며, 조사단은 이번 침해사고로 공격받은 총 28대 서버에 대한 포렌식 분석 결과, BPFDoor 27종을 포함한 악성코드 33종을 확인했다고 알려짐.▷과기정통부는 동사의 계정정보 관리 부실, 과거 침해사고 대응 미흡, 주요 정보 암호화 조치 미흡 등을 이번 해킹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했음. 이와 관련,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SKT 침해사고는 국내 통신 업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인프라 전반의 정보보호에 경종을 울리는 사고였다"면서, "동사는 국내 1위 이동통신 사업자로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사고를 계기로 확인된 취약점을 철저히 조치하고 향후 정보보호를 기업 경영의 최우선 순위로 두어야 할 것"이라고 밝힘.삼성SDI(006400)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에 소폭 하락▷LS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전사 매출액은 약 3.4조원(QoQ +6%, YoY -18%)으로 회사 예상 및 전년 2분기 매출액을 하회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힘. 특히, 4월 이후 판매량 성장이 둔화되며 매출비중에서 가장 큰 중대형 EV향 이차전지 매출액은 QoQ 11% 감소한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이어 중대형 EV향 이차전지 매출액이 주요 고객 판매량 약세로 전년비 25%, 전기비 11% 하락한 것으로 추정함에 따라 1분기 대비 중대형 전지 수익성 개선은 미미한 약 4,120억원의 영업손실을 추정한다며, 전자재료부문은 영업이익률 16% 수준의 영업이익 약 380억원을 추정하나, 비중이 낮아 전체 2분기 전체 영업손실은 약 3,74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 -> 159,000원[하향]오후장 특징주★(코스닥)셀리드(299660) : 암 치료용 백신 'BVAC-C' 병용요법 중간결과 발표 소식에 강세▷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강창율 대표이사가 'BVAC-C'와 아스트라제네카 'Durvalumab'(면역관문억제제) 병용요법 연구자주도 임상시험 중간결과를 제5회 아시아종양학회 국제학술대회(AOS 2025) 및 제51차 대한암학회 학술대회에서 구두 발표했다고 밝힘. 30명 중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객관적 반응률(ORR)은 약 37.9%, 질병조절률(DCR)은 62.1% (완전 관해: 17.2%, 부분 관해: 20.7%, 안정 병변: 24.1%)로 나타났음. 특히, 무치료 간격(TFI)이 6개월 이상인 환자들 ORR은 52.9%로 더 나은 결과를 보였음.▷이와 관련, 동사 강창율 대표는 "미국종양학회(ASCO)와 미국부인종양학회(SGO)에 이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종양학회에서 당사 BVAC-C 병용투여 임상시험 중간결과와 CeliVax 플랫폼 기술을 발표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진과 제약 관계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돼 뜻깊다"며, "자궁경부암은 아시아 지역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이번 발표는 아시아권 환자 수요에 기반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과 기술이전 기회를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폴라리스오피스(041020) : 블록체인 종속회사 폴라리스쉐어 페이팔 USD 기반 스왑풀 오픈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결제 플랫폼 페이팔(PayPal)의 USD 기반 스왑풀을 본격 개설하고 지식 공유 토큰 활용 확대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스왑풀 오픈은 동사의 블록체인 종속회사 폴라리스쉐어가 발행한 지식 공유 전용 암호화폐 '폴라리스쉐어(POLA)'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글로벌 시장에서 높이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알려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페이팔 기반 스왑풀 개설은 디지털 자산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해 POLA 생태계 참여자의 폭발적 확대를 이끄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POLA의 실질적 활용처를 넓혀가겠다"고 밝힘.위츠(459100) : 하반기 EV 충전기 시장 개화에 따른 전장 사업부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EV 충전기 시장 개화에 따른 전장 사업부의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힘. 금년 환경부는 급속 충전기 4,400기, 완속 충전기 91,000기에 설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며, 동사가 생산하는 7kW 완속 충전기 보조금은 22년 160만원에서 220만원으로 상향됐다고 밝힘. 작년 말 급변한 정치적 변동으로 지연되었던 보조금 사업의 하반기 재개에 따른 시장 규모의 확대가 기대되는 시점으로 분석.▷아울러 동사는 24년 신규사업인 게이밍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출한 가운데, 2년 내 시장 점유율 15% 이상을 목표로 사업을 고도화할 계획이며, 기존 부품 사업 대비 높은 이익률이 기대된다고 밝힘. 1분기부터 미국의 슬롯머신 제조사인 Aruze향 매출이 발생했으며, 26년 이후 본격적인 고객사 및 프로젝트 확대가 전망된다고 밝힘.오하임앤컴퍼니(309930) :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속 소폭 상승▷최대주주 오하임투자조합이 주식회사 조이웍스와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공시.제이스코홀딩스(023440) : 필리핀 니켈 광산 'DMPF' 신청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필리핀 디나가트 지역 니켈 광산에 대한 '광산개발 타당성 보고서(DMPF, Declaration of Mining Project Feasibility)'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번 DMPF 신청은 필리핀 광산지질국(MGB, Mines and Geosciences Bureau)이 요구하는 12개 항목의 필수 요건을 모두 충족한 상태에서 이뤄졌으며, 현재 MGB 지역사무소와 중앙사무소의 심사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짐. DMPF는 정해진 절차와 요건만 충족하면 승인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미 광산 운영권과 수출 인프라를 확보한 기업 입장에서는 비교적 리스크가 낮은 행정 단계로 평가되며, 이에 따라 동사는 이번 신청을 글로벌 니켈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보고 있음.▷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DMPF 신청은 단순한 서류 절차를 넘어, 동사가 글로벌 니켈 공급 체계에 본격 진입했다는 상징적인 이정표"라며, "수출 인프라, 법적 요건이 모두 갖춰진 만큼, 이르면 7월 중 첫 선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7-04 14:58:00조회수:150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미국 12월 FOMC금리 인상. 은행주 상승세 AG사단_김본2017-12-14551
|
AG사단_김본 | 2017-12-14 | 551 |
삼성중공업 1조 5천억원 유상증자 소식에 폭락! AG사단_김본2017-12-06521
|
AG사단_김본 | 2017-12-06 | 521 |
미국CME거래소 비트코인 선물 12월18일 출시 AG사단_김본2017-12-04553
|
AG사단_김본 | 2017-12-04 | 553 |
삼성엔지니어링 바레인 정유플렌트 공동수주 AG사단_김본2017-12-01414
|
AG사단_김본 | 2017-12-01 | 414 |
1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25bp 금리인상 (1.25%->1.5%) AG사단_김본2017-11-30488
|
AG사단_김본 | 2017-11-30 | 488 |
[특징주]게임빌, 신작 출시 기대감에 상승세 운영자32017-11-10368
|
운영자3 | 2017-11-10 | 368 |
FTA 충돌없이 원만한 대북메시지 도출..한국 '합격점' 운영자32017-11-10346
|
운영자3 | 2017-11-10 | 3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