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1644-0147

투자전략&톡속보

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여행,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4대강 복원,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카지노, 호텔/리조트 등...약세 테마 : 원자력발전소 해체, 전선, 지역화폐, 온디바이스 AI, 3D 낸드(NAND), IT 대표주, 2차전지(나트륨이온), 뉴로모픽 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2차전지(생산), HBM(고대역폭메모리), 증권,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조선기자재, 반도체 재료/부품, STO(토큰증권 발행), 핵융합에너지, 유리 기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스템반도체 등...[특징 테마]증권 : 국내증시 급락 영향 등에 하락▷지난밤 美 증시가 인공지능(AI) 거품론 지속 속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 Fed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국내증시도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도 속 급락세를 기록. 코스피지수가 3% 넘게 급락하며 4,000선이 붕괴됐고, 코스닥지수는 3% 가까이 급락하며 880선 아래로 밀려났음.▷이 같은 소식에 키움증권, 신영증권, 한국금융지주, 부국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등 증권 테마가 하락.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 비트코인 가격 9만달러선 하회 등에 하락▷지난밤 뉴욕증시가 AI 거품 논란 지속 및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등에 3대 지수 모두 하락한 가운데, 가상화폐 시장도 하락세가 지속되는 모습. 특히, 비트코인은 7개월만에 처음으로 9만달러선이 붕괴. 이날 오후 2시 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약 5.5%, 일주일 전 대비 약 15% 하락한 8만9,80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1억3,300만원 부근에서 거래 중.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24시간 전 대비 약 6% 하락한 2,99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최근 미국 연준 위원들의 잇따른 매파적 발언으로 12월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한 데다 주식 시장이 최근의 고점에서 하락세를 보이면서 비트코인과 같은 고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고 분석.▷이 같은 소식 속 비트플래닛, 우리기술투자, 한화투자증권, 티사이언티픽, 비트맥스, 위메이드,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Dunamu) 테마가 하락.오후장 특징주★(코스피)한국항공우주(047810) : 폴란드서 FA-50 호평 소식 등에 강보합▷18일(현지시간) 폴란드 외신에 따르면, 마르친 보루타 제23 전술 공군 기지(BLT) 기술 서비스 그룹 부사령관이자 지원 비행대대 사령관은 최근 동사의 FA-50이 폴란드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그는 "FA-50은 T-50 훈련기에 기반해 2인승 객실을 갖추고 있어 전투기와 연관되지 않는다"라면서도 "그러나 최대 15개의 지상 표적과 64개의 공중 표적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가 장착됐고, 탑재량이 4,500㎏으로 MiG-29보다 우수하다"고 평가.▷아울러 "FA-50의 전자장비는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엔진 수명은 비교할 수도 없다", "가장 마모된 부품의 수명 차이는 최대 7배에 달한다"며 FA-50에 대한 높은 만족도도 드러냈음. 특히, 87%에 달하는 높은 폴란드 제23 BLT의 임무 완료율(계획된 임무 대비 완료된 임무의 비율)은 FA-50 덕분이라며, "이러한 성과는 비교적 낮은 결함률과 평균 2.4인시라는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결함을 해결한 덕분"이라고 언급.▷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17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리는 '두바이 에어쇼'에 참가한다고 밝힘. 두바이 에어쇼는 중동·북아프리카(MENA) 최대 규모의 에어쇼로 재작년 기준 1천500여개 항공·방산업체가 참가하고 15만명의 참관객이 모인 바 있으며, 이번 행사에서 동사는 차세대 전투기 KF-21을 홍보하고 FA-50, 수리온, LAH 등 주력기종과 초소형 SAR 위성도 전시할 계획임.오후장 특징주★(코스닥)엔피케이(048830) : 세계 최초 천연 단쇄지방산(SCFA) 상용화 기술 공개 소식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생물 대사체 연구기업인 동사가 세계 최초 천연 SCFA 상용화 기술(SCFA455) 을 공개하며,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대를 여는 산업 혁신을 선언했다고 전해짐. 단쇄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은 장내 미생물이 식이섬유를 발효할 때 생성되는 대사산물로, 장 상피세포의 에너지원이자 염증 억제 및 면역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짐. 기존 프로바이오틱스나 프리바이오틱스가 ‘균’ 중심의 접근이었다면, SCFA는 그 결과물인 ‘대사산물’을 직접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능성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며 동사는 오는 11월 26일 서울 소피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SCFA and Gut Health International Symposium 2025’를 개최하고, SCFA의 과학적 근거와 산업 적용 전략을 공유할 예정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유익균의 ‘씨앗’이라면, SCFA는 그 결과물인 ‘열매’에 해당한다"며, "포스트바이오틱스는 기능성 원료 산업의 새로운 성장축이 될 것"이라고 언급. 이어 "SCFA455가 제시하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공동연구와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힘.인벤티지랩(389470) : 장기 지속형 플랫폼 기술 이전 가능성 속 극심한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장기 지속형 플랫폼의 기술 이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세대 고농도 SC 제형 플랫폼으로 본격 확장하고 있음에도 유사 업체들 대비 극심한 저평가 상태에 놓여있어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동사는 장기 지속형 플랫폼 기반의 알코올, 오피오이드 의존증 치료제 IVL3004와 다발성경화증치료제 IVL4002의 호주 1상에서 성공적인 탑라인(주요 지표) 결과를 도출했다며, 앞서 탈모치료제 IVL3002(1개월), IVL3002(3개월)의 1상에서는 초기 과다방출(Initial Burst) 없이 안정적인 혈중 약물 농도 유지와 우수한 내약성이 확인 된 바 있다고 언급. 이어 베링거인겔하임(이하 BI)과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이 물질이전계약(MTA) 단계로 확장된 가운데, 추가 후속 개발계약 소식이 이어진다면 BI와의 공동연구 개발이 순항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동사는 BI 임상 후보제형 개발 완료 후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분석.▷아울러 최근 2세대 고농도 SC 제형 플랫폼도 공개한 바 있으며, 해당 유사 기업 가치는 약 1조3,000억원에 달하기에 관심을 가져할 부분이라고 설명. 또한, 국내 지속형 펩타이드 제형 플랫폼 보유 대표 기업으로는 펩트론, 지투지바이오, 동사가 있다며 모두 아직 빅파마와 기술 이전 계약 전으로써 기술 평가 및 연구협력 계약 체결 단계에 있지만, 시총은 각각 7조3,000억원, 1조6,000억원, 8,400억원으로 동사는 가장 저평가 상태에 놓여있다고 분석.앱클론(174900) : 헨리우스에 기술이전한 HLX22 위암 1차 치료제 임상 3상 및 관리종목 해제 기대감 등에 상승▷전일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6년 중국 헨리우스에 HLX22(AC101)을 중국 판권 최대 217억원, 2018년 글로벌 판권 420억원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힘. HLX22는 이중 에피톱 결합(HER2 dual-epitope) 구조로 HER2 내재화(internalization)을 40~80% 증가 시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기전으로 기존 1차 치료제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전망. 올해 HER2 양성 위암 1차 치료제로 글로벌 다국가 3상 임상(MRCT) 개시하였으며, 헨리우스는 이르면 3년 뒤부터 공식적인 해외 출시가 가능하다고 언급. 위암 1차 3상 중간 데이터는 이르면 '26년 3분기 발표될 것으로 전망.▷아울러 지난 4월 R&D Day에서 HLX22의 매출 목표를 $10bn 이상 제시(한화 약 14조 원)했다며, 러닝 로열티 5%를 적용하면 연간 최대 약 7,000억원 유입이 가능하다고 설명.▷또한, 지난 3월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30억원 미만 사유로 관리종목에 지정됐지만, 올 3분기 누적 매출액 30.9억원으로 매출이 개선됐다며, 3월 감사보고서 제출과 함께 관리종목 해제가 기대된다고 밝힘.모아라이프플러스(142760) :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 'CUNA' 4종 출시 예정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 대표 브랜드 DOCTORS PGA 이후 프리미엄 스킨케어 라인인 'CUNA(쿠나)' 시리즈의 개발을 완료하고 오는 12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CUNA는 과학기반의 PGA 기술력에 프리미엄 성분 조합을 더해 피부의 시간적 손상을 근본적으로 케어하는 라인"이라며, "DOCTORS PGA가 기능성 보습 중심의 브랜드라면 CUNA는 한단계 높은 안티에이징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에어레인(163280) : SK이노베이션 및 SK아이이테크놀로지, 동사 지분 전량 매각 등에 급락▷주식등의 대량보유자(SK이노베이션 외) 소유주식수 변동(시간외매도) 전자공시. SK이노베이션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각각 320,970주씩 총 641,940주의 동사 지분 전량을 주당 16,461원에 매도.▷언론에 따르면, 이번 지분 매각은 SK그룹 전반의 비핵심 자산 처분의 일환인 것으로 전해짐.@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11-18 14:47:54조회수:151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5.08.28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8153
톡스타톡속보 2025-08-28 153

25.08.28.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8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8 151

25.08.27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7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7 152

25.08.27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7153
톡스타톡속보 2025-08-27 153

25.08.27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7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7 151

25.08.26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6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6 152

25.08.26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6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6 151

25.08.26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6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6 151

25.08.25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5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5 152

25.08.25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5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5 152

25.08.25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5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5 151

25.08.22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2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2 152

25.08.22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2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2 151

25.08.22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2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2 152

25.08.21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1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1 151

25.08.2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1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1 152

25.08.21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1151
톡스타톡속보 2025-08-21 151

25.08.2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0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0 152

25.08.20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0156
톡스타톡속보 2025-08-20 156

25.08.20 오늘의 미국 마감시황 입니다.

톡스타톡속보2025-08-20152
톡스타톡속보 2025-08-20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