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육계,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구제역/광우병 수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면역항암제, 엠폭스(원숭이두창), 수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여름,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생명보험, 마이크로바이옴, 풍력에너지, 2차전지(생산), 화이자(PFIZER),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태양광에너지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지역화폐, 퓨리오사AI, HBM(고대역폭메모리), 3D 프린터, 딥페이크(deepfake), 3D 낸드(NAND), STO(토큰증권 발행), 교육/온라인 교육, 반도체 대표주(생산), 출산장려정책, 뉴로모픽 반도체, LED장비,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온디바이스 AI, DMZ 평화공원, 시스템반도체,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증권,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탈모 치료,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토스(toss), 4대강 복원, 마리화나(대마), 반도체 장비, 두나무(Dunamu), 맥신(MXene), 자동차 대표주, 건설 중소형, 광고, 창투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골프,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반도체 업황 재둔화 우려, 美 어플라이드 반도체 부문 매출 부진 영향 등에 하락▷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업황이 2분기 다시 둔화할 가능성이 크며,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상당한 악영향이 예상된다고 밝힘. 관세 부과 전 선구매와 공급 제한에 따라 올 1분기까지는 D램 업황이 당초 우려보다 양호했지만, 2분기 이후에는 선구매의 부작용과 생산량 증가에 따른 레거시 D램의 업황이 재둔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 이어 올해 1분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업황은 하락 사이클에 진입한 것 같다며, 1분기에는 출하량이 직전 분기 대비 줄었고, 낸드에 이어 D램 평균판매단가(ASP)도 하락을 개시했으므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가 직전분기보다 축소됐다고 분석.▷특히, 반도체 주가는 지난해 7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으므로 이번에도 업황을 6개월가량 선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 경기 하강에 따른 전반적인 수요 둔화 및 인공지능(AI) 투자 둔화 등으로 업황이 재악화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반도체 업황이 올해 중순부터 추세 상승으로 전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추정.▷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뉴욕증시 장 마감 후 미국 최대 반도체 장비사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2025 회계연도 2분기(2~4월)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핵심 사업인 반도체 시스템 부문 매출(52억6,000만달러·약 7조원)이 이미 낮아진 시장 눈높이(53억2,000만달러)에 못 미쳤음. 인공지능(AI) 컴퓨팅용 고성능 반도체 장비 수요가 전례 없이 높은 상황에서도 실적이 지지부진한 건 대중 규제로 해외 최대 판매처였던 중국에 장비를 제대로 팔지 못한 영향으로, 1년 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전체 매출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43%였으나, 올 2분기에는 25%로 급감했음. 이에 지난 16일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주가는 5% 넘게 하락.▷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 DB하이텍, 네패스, 네패스아크,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퀄리타스반도체, 테크윙, 디아이, 파두, 리노공업 등 반도체 테마가 하락. 증권: 무디스,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 등에 따른 증시 부진 속 하락▷지난 16일(현지시간) 무디스는 보도자료를 내고 미국의 신용등급을 기존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강등했으며,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음.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2023년 피치에 이어 무디스마저 미국 신용등급을 내린 것으로, 무디스는 1917년 이래 미 신용등급을 AAA로 유지해 왔지만, 108년 만에 미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음.▷이와 관련, 무디스는 "미 정부와 의회의 무책임한 지출이 재정 적자를 키워 왔다"며, "미국 경제와 금융의 강점을 인정하지만 재정 지표 악화를 완전히 상쇄할 수 없다"고 밝힘.▷금일 코스피, 코스닥지수는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 속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중임. 특히, 코스피지수는 장중 2,600선이 붕괴됐으며, 코스닥지수는 710선 초반으로 밀려나는 모습.▷이 같은 소식 속 유진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SK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대신증권 등 증권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코리안리(003690): 긍정적 업황 지속 전망 및 무디스 첫 국제신용등급 'A1' 획득 소식 등에 소폭 상승▷SK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순이익은 906 억원(+42.6% YoY)로 L&H 부문의 보수적 부채 적립 기조 영향 마무리, P&C 부문의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 및 견조한 투자손익에 힘입어 당사 추정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특히, L&H부문은 24년 중 보수적인 부채 적립 수준 대비 1Q25 중 실제 계산서가 양호함에 따라 예실차 손익이 흑자전환하며 82억원(+흑자전환 YoY)을 시현했다고 분석.▷아울러 소프트마켓 추세가 일부 나타났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재보험 가격, 자본 규제 강화에 따라 높아진 금융재보험 출재 수요, 부채보다 긴 자산 듀레이션으로 금리 하락에도 제한적인 자본 측면의 부담 등 영향으로 긍정적인 업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0,000원 -> 11,000원[상향]▷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로부터 보험금지급능력평가 신용등급(IFSR)에서 ‘A1’, 전망은 '안정적(Stable)' 등급을 신규로 부여 받았다고 밝힘. A1(Stable) 등급은 글로벌 10위권 내 포진해 있는 다수의 최상위 재보험사들과 동등한 신용등급이며, S&P 기준으로는 A+에 해당되는 높은 등급으로 전해짐. 드림텍(192650):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소폭 상승▷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5-19~2025-11-19, 삼성증권 주식회사(Samsung Securities Co., Ltd)) 공시. LG생활건강(051900): 2분기 실적 부진 지속 전망 등에 소폭 하락▷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전년도 가장 높은 분기 베이스 영향으로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현재 동사는 국내 사업 구조 변화뿐 아니라 해외 역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북미, 일본 등으로 지역 다변화를 적극 추진 중이지만, 이에 대한 성과가 빠르게 가시화되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 이는 전사 실적 내 기존 주요 채널 및 지역의 이익 기여도가 유의미한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밝힘.▷한편,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1조6,979억원(yoy -1.8%), 영업이익 1,424억원(yoy -5.7%)을 기록했다며, 생활용품 호조에도 불구하고 화장품과 음료 부문의 매출 및 수익성 하락이 전사 실적 감소의 주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50,000원 -> 430,000원[하향]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원익홀딩스(030530): 자회사 원익로보틱스, 로봇 핸드 '알레그로 핸드 V5 4F 플러스’ 유럽연합 CE 인증 획득 소식에 급등▷동사 자회사인 원익로보틱스는 언론을 통해 알레그로 핸드 V5(Allegro Hand V5)의 4F 플러스(4개의 손가락을 기반으로 구조와 파지력을 향상시킨 ‘4 핑거 플러스’) 모델이 유럽연합(EU) 통합 규격인증 마크인 CE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CE 인증은 유럽연합(EU)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증으로, 앞서 3F(3개의 손가락을 의미하는 ‘3 Finger’) 모델에 이어 4F 플러스까지 유럽 안전 기준을 통과하며 알레그로 핸드 V5 시리즈 전 라인업이 국제 안전 기준을 충족하게 됐음.▷이와 관련, 원익로보틱스 관계자는 "알레그로 핸드는 정밀한 제어 성능과 다양한 형태의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유연성을 바탕으로, 산업용 및 연구용 로봇 연구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상업용 응용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번 인증을 통해 글로벌 고객의 기술 요구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에브리봇(270660): SK매직과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개발용역 계약 체결 부각에 강세▷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봇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구동부 모듈의 뛰어난 기술력과 품질을 바탕으로 AI 로봇의 자율주행부 모듈 개발을 위한 대기업과의 개발용역 계약에 성공하며 주목받고 있다고 전해짐.▷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SK계열사인 SK매직과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개발을 위한 용역 계약을 지난 3월 체결했으며, 이번 계약은 동사가 자율주행부 모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개발 용역 대금을 받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고 알려짐. 총 계약금액은 18.50억원으로 2분기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며, 개발 완료 이후에는 자율주행부 모듈 공급을 위한 공급계약도 체결 예정으로 현재 협의 중에 있다고 전해짐. LK삼양(225190): 독일 슈나이더와 공동 개발 신제품 출시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독일 슈나이더(Schneider-Kreuznach)와의 협업으로 공동 개발한 신제품인 'AF 14-24㎜ F2.8 FE 렌즈'가 지난달 말 정식 발매되면서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고 밝힘. 이 렌즈는 지난달 말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실시한 예약판매에서 사전 계획된 물량이 모두 완판됐다며, 이후에도 추가 구매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고 설명.▷해당 제품을 중심으로 대폭적인 판매 실적 개선을 전망하고 있으며, 하반기 턴어라운드를 이뤄낼 견인차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2분기 이후 새로운 표준 줌 렌즈를 포함한 혁신적인 제품 출시를 통해 매출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R&D 사업을 통해 새로운 공법의 코팅 기술을 확보했다"며, "이 기술은 교환렌즈 뿐 만이 아니라 인공위성용·드론용 렌즈 등 B2B(기업간 거래) 모듈 사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 민테크(452200): 현대차와 7.99억원 규모 고전압 배터리팩 충방전기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대차와 고전압 배터리팩 충방전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가 공급하기로 한 제품은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배터리팩의 성능과 신뢰성 등을 시험하는 장비로, 500볼트(V), 800V급 고전압, 고전류 충방전 시험기로 구성되며 공급규모는 총 7억9,990만원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현대차에 수소차 연료전지 검사용 전자부하기를 꾸준하게 공급해오고 있다"며, "이번 공급은 동사가 현대차에 전기차용 고전압 배터리팩 테스트용 충방전기를 공급하는 초도 물량으로 향후 지속적인 추가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와이어블(065530): 신재생에너지 사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김문환 동사 대표는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가 핵심사업으로 선정하고 앞으로 향후 5년간 5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밝힘. 이어 “이동통신과 연계된 사업에만 의존했던 과거에서 벗어나고자 꾸준하게 사업 조정을 추진해 왔고, 1차 국방사업과 2차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언급.▷특히,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발전과 전력거래 2개 분야에 힘을 준다며, 김 대표는 “먼저 발전사업으로 와이어블 솔라 1호(대구 달성 소재, 224kw)를 시작으로 올해 이미 3.7MW 발전 용량을 확보한 상태고, 매년 7MW 이상을 투자해 2029년까지 35MW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한다”고 밝힘. 또한, “전력 중개 사업 진출을 위해 올초 사업자 등록을 완료했고, 1단계로 1MW급 이하 소규모 전력 중개사업을 연말 시행할 예정”이며, “향후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Peer To Peer(발전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자에게 전달) 전력 직거래 사업까지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벨로크(424760): 한전케이디엔과 37.6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20%) 규모 남부발전 정보보안 위탁운영 용역 계약 체결에 상승▷지난 16일 장 마감 후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와 37.6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20%) 규모 공급계약(남부발전 정보보안 위탁운영 용역) 체결(계약기간:2025-04-30~2028-04-29) 공시.▷언론에 따르면,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총 879대의 보안 설비에 대한 유지관리 서비스를 비롯해 보안 리스크 및 취약점 통합 관리, 보안 서비스 데스크 운영 등을 포괄적으로 제공할 예정. 또한, 각 설비의 운영 교육 및 시설 내 최적 재배치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 보안 운영 솔루션을 위탁 제공하게 된다고 알려짐. 광무(029480): 이피캠텍 주식 추가 매입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정밀화학소재 전문기업 이피캠텍의 주식 5만주(0.49%)를 장외에서 추가 매입했다고 밝힘. 이번 매입으로 이피캠텍 지분율은 기존 9.80%에서 10.29%로 상승했다며, 매입 단가는 주당 1만원, 총 매입금액은 5억원이라고 언급. 이피캠텍에 대한 지배력을 높여 이차전지 소재 사업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피캠텍 지분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앞으로 장외 시장의 주가 흐름과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유연하게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힘. 피플바이오(304840): 美 FDA, 알츠하이머병 진단 혈액검사 승인 소식 속 알츠하이머 혈액진단키트 보유 사실 부각에 상승▷외신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6일(현지시간)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위한 혈액검사를 처음으로 승인했다고 전해짐. 이번에 승인된 루미펄스(Lumipulse)라는 검사는 혈장에서 두 가지 단백질을 측정, 뇌에 아밀로이드 침착물(플라크)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 혈액검사이니만큼 기존 검사법에 비해 비용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다만, 개발사인 일본 HU 그룹 산하 후지레비오진단은 정확한 검사 비용을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고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알츠하이머 혈액진단키트 ‘알츠온’(AlzOn)을 보유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케이프(064820): 현금배당(시가배당률 4.4%) 결정 등에 상승▷지난 16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률 4.4%) 현금배당(중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6-02) 공시.▷한편, 중간배당 및 결산배당 재원확보를 목적으로 보통주 3,200,000주(218.56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 2025-05-19~2025-06-18) 공시. 세종텔레콤(036630): 계열사 에어코드, 웹 가상화 보안 설루션 신속확인서 취득 소식 등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계열사인 에어코드에서 자체 개발한 제로트러스트 기반 웹 가상화 보안 설루션 '에어알비아이(AirRBI) v1.2'가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서를 취득, 보안 적합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힘.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는 신기술 및 융·복합 제품에 대해 보안성 및 기능 적합성을 평가하고 전문가 심의를 거쳐 정부 공공기관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검증하는 제도이며, 회사 측은 AirRBI가 국정원이 제시한 국가망보안체계(N2SF) 기준에 부합, 최적화됐다고 설명. 이에 N2SF 기반 보안체계 도입을 추진 중인 공공 및 정부기관을 비롯한 금융, 교육 등에서 적용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강조. 티앤알바이오팹(246710): 1분기 실적 부진 속 급락▷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55억원(전년동기대비 +401.7%), 영업손실 35.8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3.9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5-19 15:37:35조회수: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