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지역화폐, 마리화나(대마), 셰일가스(Shale Gas), 원자력발전, 건설 대표주, LNG(액화천연가스),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CCTV&DVR,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도시가스, 전력설비, 해운,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손해보험,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반도체 대표주(생산), 강관업체(Steel pipe),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철도, 통신, 핵융합에너지, 네옴시티, 전자파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2차전지(나트륨이온), 페인트,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LED장비, 탄소나노튜브(CNT), 리튬, 2차전지(생산), AI 챗봇(챗GPT 등), 유리 기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슈퍼박테리아, 딥페이크(deepfake), 광고, 퓨리오사AI, 교육/온라인 교육, 국내 상장 중국기업, 그래핀, 2차전지(장비), 유심(USIM),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보안주(물리),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화이자(PFIZER) 등... <특징 테마>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美 세제 개편 수혜 기대감 및 대선 정책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관련주들이 국내외 긍정적 호재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美-中 갈등 여파로 반사이익이 예상되는 데다, 관련 산업 육성 방안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자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특히, 중국 정부의 보조금 축소 방침이 한화솔루션 등 국내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이와 관련, 최근 美 하원 공화당 지도부가 공개한 세제 개편안 초안에 따르면, 중국 태양광 업체는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대상에서 배제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의 태양광 모듈 설비 52GW(기가와트) 가운데 중국이 지분을 보유한 설비가 40%(21GW)에 달하는 만큼, 중국 외 국가 설비가 주목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또한, 신한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IRA 수정법안 공개로 재생에너지 분야의 가장 큰 위험요소가 해소됐다며, 태양광과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은 안정적 수요가 예상되며 풍력과 수소는 일몰 전 투자가 집중될 것이라고 언급.▷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수산인더스트리 등 태양광에너지와 씨에스윈드 등 풍력에너지, 두산퓨얼셀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K-푸드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 호조세 지속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서구권에서 K-푸드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며 가공식품 수출 호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4월 누적 가공식품 수출액은 YoY 10% 증가한 26.8억 달러로, 주요 지역별로는 미국 6.3억달러(YoY 29%), 중국 4.0억달러(YoY 4%), ASEAN 5.0억달러(YoY 2%), 유럽 2.9억달러(YoY 6%)를 기록했다고 언급.▷특히, 4월 라면 수출액은 1.3억달러(YoY 25%, MoM 17%)로 월 최대치를 갱신했다며, 7월부터 삼양식품의 밀양2공장 가동 예정으로 미국과 중국에서 높은 성장세와 유럽/호주 등 신규 시장에서도 수요 확대가 지속되면서 신공장 가동 이후 해외 모멘텀은 강화될 것으로 전망. 또한, 농심도 신제품 신라면 툼바를 필두로 해외 확장을 가속화하며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한국 라면 수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라면 외 다양한 품목에서의 성장도 긍정적이라며, 소스류, 아이스크림, 과일소주, 김, 음료 수출은 YTD YoY 9%, 11%, 10%, 17%, 8% 증가했다고 설명.▷이에 금일 삼양식품, 엠에스씨, 농심, 노바렉스, 비피도, 사조동아원, 현대그린푸드 등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시멘트/레미콘: 1분기 시멘트 출하량, 1998년 이후 최저치 기록 등에 하락▷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1분기 시멘트 출하량은 812만톤(t)으로 전년동기대비 21.8% 감소. 1분기 출하량으로는 1998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임. 1분기 출하량이 1,000만t을 하회한 것은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가 유일하며, 1분기 출하량 감소율이 20%대를 기록한 것 또한 1998년 1분기(23.1% 감소) 이후 처음임. 이러한 시멘트 수요 감소는 건설경기 침체 영향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음.▷이 같은 소식 속 한일시멘트, 모헨즈, 보광산업, 한일현대시멘트, 삼표시멘트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흥국화재(000540): 1분기 호실적에 급등▷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영업이익 1,446.80억원(전년동기대비 +135.11%), 순이익 1,195.80억원(전년동기대비 +204.96%).▷언론에 따르면, 투자손익이 지난해 1분기 784억원 적자에서 856억원 흑자로 돌아서며 실적 개선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1분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는 216.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고 전해짐.DL(000210): Cariflex 신증설 완료로 기업가치 개선 전망 등에 소폭 상승▷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회사 Cariflex는 3억 5,500만 달러를 투입해 싱가포르에 신규 IR Latex 공장을 완공한 가운데, 이로 인해 Cariflex의 글로벌 IR Latex 생산 능력은 50% 이상 증가하며, 세계 1위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아울러 최근 한미 재무당국의 환율 정책 협의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고점 대비 하락한 가운데, 동사의 차입금 중 약 60%가 달러 기준이므로, 추가적인 환율 하락은 외화환산손익 개선을 통해 2025년 2분기부터 세전이익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3,000원[유지]빙그레(005180): 1분기 영업이익 시장 예상치 하회 등에 약세▷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085억원(+2.5% yoy), 135억원(-36.1% yoy)으로 컨센서스(3,096억원 / 197억원)와 당사 추정치(3,018억원 / 157억원) 대비 매출은 부합, 영업이익은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우려했던 코코아·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외에도 통상임금 적용에 따른 인건비 증가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 또한 지난해 1분기 높은 실적도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밝힘.▷아울러 매분기 통상임금 반영을 고려하면 원가율 개선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며, 성수기 기온 등 날씨 변수는 올해 실적 향방을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 -> 110,000원[하향]유진투자증권(001200):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027.75억원(전년동기대비 -1.74%), 영업이익 58.75억원(전년동기대비 -66.77%), 순이익 60.23억원(전년동기대비 -61.53%).한일홀딩스(003300):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104.92억원(전년동기대비 -20.05%), 영업이익 126.54억원(전년동기대비 -76.87%), 순이익 103.43억원(전년동기대비 -80.41%).미래아이앤지(007120): 1분기 적자전환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20억원(전년동기대비 -20.34%), 영업손실 0.7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4.2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센코(347000): 美 법인, 토탈 세이프티와 제품 판매 계약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법인(SENKO Technologies USA)이 산업안전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 토탈 세이프티(Total Safety U.S., Inc.)와 제품 판매 계약(Distributor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힘. 토탈 세이프티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미국 내에만 78개의 사무실과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최대 규모의 산업 안전 장비 공급망 중 하나라고 설명.▷이와 관련, 하승철 동사 대표이사는 "미국 시장 개척을 위해 온 지 2개월도 되지 않아 이뤄낸 큰 성과"라면서 "이번 계약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빠르게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 중동, 유럽 시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게 됐다"고 밝힘. 대명에너지(389260): 1분기 호실적 및 올해 실적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92억원(+29.1% YoY)과 영업이익 57억원(+55.6% YoY)을 달성했다며, 특히 발전(전력판매+REC) 매출액이 9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발전사업은 계절성이 뚜렷하며 풍황이 좋은 1, 4분기에 매출액이 많이 늘어난다며, 현재 발전매출은 4개 사이트에서 발생 중이라고 설명(대명, 영암, 도음산, 거창). 수익성도 높은 사업부로 매출액이 커지는 분기에는 영업이익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밝힘.▷아울러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280억원(+88.9% YoY)과 영업이익 237억원(+144.1% YoY)으로 추정된다며, 큰 폭의 실적 확대는 EPC 사업에 기인할 것으로 분석. 사이트별로는 김천풍력 389억원(26MW), 곡성풍력 63억원(42MW), 제주도 BESS(140MWh) 504억원 등이 예상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3,000원[유지] 상상인(038540): 1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속 급등▷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03.48억원(전년동기대비 -21.08%), 영업이익 31.1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8.91억원(전년동기대비 -84.07%). 디어유(376300):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강세▷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NCT Wish 및 RIIZE 입점에 따른 버블 구독수 전고점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 신규 IP 입점에 따른 실적 개선은 2분기부터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또한, QQ 뮤직 내 Bubble for China 인앱 출시는 6~7월 경으로 예상되며, Bubble for Japan 구독수 아직까지 미약하지만, J-Pop 부흥기 진입에 따라 점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5,000원 -> 60,000원[상향] 이엔에프테크놀로지(102710): 1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77.90억원(전년동기대비 +18.73%), 영업이익 214.60억원(전년동기대비 +210.56%), 순이익 141.30억원(전년동기대비 +175.35%). 일지테크(019540): 1분기 호실적에 강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53.66억원(전년동기대비 +8.33%), 영업이익 118.90억원(전년동기대비 +50.61%), 순이익 84.03억원(전년동기대비 +21.63%). 덕산네오룩스(213420): 1분기 영업이익 시장 컨센서스 상회 및 2분기 실적 성장 전망 등에 상승▷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은 379억원(-27% QoQ, -28% YoY), 영업이익은 99억원(-50% QoQ, -4%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85억원)를 상회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매출 감소에도 고부가 제품 중심의 믹스 개선과 비용 효율화로 높은 수익성 기록했다고 밝힘.▷아울러 2Q25부터는 현대중공업터보기계가 실적이 연결 기준으로 본격 반영되며, 매출액 834억원(+120% QoQ, +58% YoY), 영업이익 182억원(+84% QoQ, +81% YoY), opm 21.8%로, 시장 컨센서스(179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또한, 2Q부터 갤럭시 Z플립7향 블랙 PDL 공급 및 아이폰 17 시리즈 양산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3,000원[유지] 앱클론(174900): 림프종 치료제 '네스페셀' 임상 2상 중간 결과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카티(CAR-T) 치료제 '네스페셀(AT101)'의 임상 2상 중간 결과를 다음달 12일부터 15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유럽혈액학회(EHA)에서 발표한다고 밝힘. 이번에 공개하는 초록은 다기관 임상 2상을 통해 네스페셀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를 담고 있으며, 네스페셀을 투여받은 35명 중 유효성 평가가 가능한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이 진행됐음.▷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네스페셀은 매우 높은 ORR을 바탕으로 기존 CAR-T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던 고위험 환자군에서도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네스페셀 고유의 작용 기전 '플라잉 키스'와 약물동태학(PK) 지표 간의 상관관계가 치료 효과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진행 중인 임상 2상에서는 장기 생존율과 부작용 관리 전략에 대한 평가도 병행 중"이라며 "추후 진행 예정인 독립적자료 모니터링위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7월 초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속처리대상 지정을 신청해 빠른 품목허가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음. 플랜티넷(075130):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등에 소폭 상승▷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1분기 실적 발표. 매출액 132.44억원(전년동기대비 +75.59%), 영업이익 33.6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5.65억원(전년동기대비 -43.13%).▷이와 관련, 동사는 이번 분기 실적 상승의 주요 배경은 '모아진' 서비스의 판매 호조와 함께 자회사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의 수익 개선 등이 라고 밝힘. 아이스크림에듀(289010):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3.86억원(전년동기대비 -11.41%), 영업손실 35.6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38.8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유티아이(179900):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06억원(전년동기대비 -15.38%), 영업손실 96.7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10.0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메가엠디(133750): 1분기 적자전환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3.79억원(전년동기대비 -3.78%), 영업손실 4.9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9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와이제이링크(209640): 1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5.59억원(전년동기대비 -25.80%), 영업손실 12.8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7.9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인크레더블버즈(064090): 1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88억원(전년동기대비 +268.84%), 영업손실 13.7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89.2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더라미(032860): 1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33.98억원(전년동기대비 -40.60%), 영업손실 7.7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4.18억원(전년동기대비 -71.41%).@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5-16 15:22:34조회수: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