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비만치료제, 치매, 면역항암제, 제대혈, 제약업체, 탈모 치료, 화이자(PFIZER),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낙태/피임,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유전자 치료제/분석, 콜드체인(저온 유통), 슈퍼박테리아, 코로나19(진단키트), 마리화나(대마), 무선충전기술,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모더나(MODERNA),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마이크로바이옴, mRNA(메신저 리보핵산), 증강현실(AR), 줄기세포, 엠폭스(원숭이두창),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조선, 딥페이크(deepfake), 건강기능식품,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등...약세 테마 : 스테이블코인, 화학섬유, 반도체 대표주(생산),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증권, CCTV&DVR, 전자결제(전자화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블록체인, 핀테크(FinTech), 밥솥, STO(토큰증권 발행), 토스(toss), LPG(액화석유가스), 렌터카, NFT(대체불가토큰), 유심(USIM), 정유, 윤활유, 셰일가스(Shale Gas), 페인트, 출산장려정책, SI(시스템통합),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원자력발전소 해체, AI 챗봇(챗GPT 등) 등... [특징 테마]조선/ 조선기자재 :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IB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Q25부터 2023년 수주한 물량이 조선주들의 매출에 반영되면서 2024년보다 큰 수익성 개선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23년 신조선가지수가 +10% 상승했다며, 이는 2021년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선가 상승을 기록한 해라고 언급. 원가도 안정화되어 선가 상승분은 온전히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며 수익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특히, 삼성중공업은 2Q25부터 2023년 수주한 초고수익성 LNGc와 고마진 컨테이너선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4Q25에는 저마진 물량인 카타르 1차 LNGc와 2021년 수주 물량이 완전히 해소되며 가파른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힘. HD현대중공업은 2023년 수주한 초고수익성 LNGc와 당시 대규모로 수주했던 고수익성의 VLAC/VLGC가 2Q25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며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미포 등 조선 테마를 비롯해 대양전기공업, 성광벤드, 한라IMS 등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스테이블코인 등 : 카카오페이, 스테이블 코인 사업 선반영 등에 따른 밸류에이션 과열 분석 등에 하락▷신한투자증권은 카카오페이에 대해 2분기 실적은 견조하나 주가와 펀더멘털 간 괴리가 큰 상황이라며, 스테이블 코인 관련 기대감을 반영한 주가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제화는 초기 단계이며 구체적인 규제 가이드라인이 부재해 현 시점에서 시장의 기대를 정당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인 판단이 어렵다고 밝힘. 다만, 향후 스테이블 코인 관련 정책 방향 및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재조정될 수 있다고 설명.▷이 같은 분석 속 카카오페이가 급락, 뱅크웨어글로벌, 아이티센글로벌, 미투온, 더즌, 한컴위드, 다날 등 스테이블코인/전자결제(전자화폐)/핀테크(FinTech)/STO(토큰증권 발행)/NFT(대체불가토큰) 등 스테이블코인 관련 테마들이 동반 하락.증권 : 주가 단기 급등에 따른 밸류에이션 정당화 필요 분석 등에 하락▷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증권 업종 주가가 최근 단기간에 급등했다며, 이는 유동성 확대 기대감, 발행어음 및 IMA 등 신규 업무 인가에 따른 성장 기대감이 이익으로 현실화되기 전에 선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일부 반영된 부분도 존재한다며, 특히 6월 거래대금 급증으로 Brokerage 수수료수익 증가 기대는 충분하다고 밝힘. 반면, 그 외 IB, Trading 부문은 회사별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체로 QoQ 기준 큰 폭의 증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밝힘.▷한편, 2Q25E 전망과 이익 추정치는 상향 조정함에 따라 업종 투자의견은 Overweight로 유지하지만, 현재 높아진 밸류를 정당화하고 이보다 전향적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선반영된 성장 기대감이 실질적인 이익 증가로 나타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언급.▷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부국증권, 신영증권, 유안타증권, LS증권 등 증권 테마가 하락.정유/ 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하락 등에 하락▷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 휘발유 재고 증가ㆍ무역 갈등 속 소폭 하락세를 기록.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14달러(-0.21%) 하락한 66.3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음.▷이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오는 8월1일부터 유럽연합(EU)산 제품에 대해 3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약 720억유로(약 116조2,000억원) 규모의 2차 보복조처 적용 대상 목록을 완성한 것으로 전해짐. 또한, 美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미국 내 휘발유 재고는 전주대비 340만 배럴, 중간유류(디젤 등)는 전주대비 420만 배럴 각각 증가으며, 특히 휘발유 재고는 한 주 만에 증가세로 반전했음.▷이에 금일 S-Oil, GS, E1, SK가스, 대성산업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하락.오후장 특징주★(코스피)현대약품(004310) : 차세대 항암제 ‘USP1 저해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개발 중인 차세대 항암제 ‘USP1 저해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이 주관하는 신약 R&D 생태계 구축 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힘. USP1 저해제는 합성치사 메커니즘을 활용한 혁신적인 항암제로, 암세포의 DNA 손상 복구 시스템을 차단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치료제라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수년간 축적해 온 연구 노하우와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USP1 저해제의 혁신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밝힘.유한양행(000100) : J&J, 2분기 '렉라자 병용' 매출 약 2,500억원 달성 소식에 급등▷언론에 따르면, 동사 '렉라자'(미국 제품명 라즈클루즈)와 J&J(존슨앤존슨) '리브리반트'를 함께 사용하는 폐암 치료 병용요법이 올해 2분기 J&J 글로벌 매출 1억7,900만 달러(약 2,483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전년 동기 6,900만 달러(약 958억원)보다 159% 증가한 수치임. 호아킨 듀아토 J&J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 콜에서 "리브리반트·렉라자 병용요법은 출시 이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항암제 중 하나"라며, "현재 의료진 사이에서 1차 치료제로 가장 많이 처방 의향을 밝힌 요법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한편, 렉라자는 국내 바이오 기업 오스코텍이 개발해 2015년 동사에 기술 수출된 항암제로, 동사는 렉라자의 임상 1상을 진행하던 중간인 2018년 렉라자의 글로벌 개발·판매 권리를 얀센(존슨앤드존슨 자회사)에 총 1조4,000억원 규모로 기술 수출한 바 있음. 기술 수출에 따라 동사는 얀센에서 판매 매출 관련 로열티를 받고 있으며, 한국에 대해서만 렉라자의 개발·판매 권리를 갖는 것으로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렉라자 원개발사 오스코텍도 상승세를 기록 중.녹십자(006280) : 미국 자회사 GC 바이오파마 USA, 국제학회서 면역글로불린 혈전 연구 발표 소식 속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자회사 GC 바이오파마 USA가 미국 뉴저지에서 개최된 '2025 국제혈전지혈학회(ISTH)'에서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점도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이번 발표에서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5종의 면역글로불린 제제를 4℃~25℃까지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했으며, 그 결과 모든 제품이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이번 데이터를 발표한 GC 바이오파마 USA의 임상교육 총괄 수잔 스트라스터스는 "예비 결과지만 제품간 점도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는 혈전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적합한 제제를 선택하는 데 임상적으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밝힘.종근당(185750) : R&D 모멘텀 기대감 등에 상승▷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요 품목과 신규 도입 품목 믹스에 따라 실적 개선이 예상보다 느려 보일 수 있지만, 올해는 비로소 본격적인 R&D 모멘텀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제일 기대해볼 수 있는 R&D 모멘텀으로는 2023년 말 노바티스에게 기술이전된 HDAC6 저해제 CKD-510의 임상2상 IND 승인에 따른 적응증 공개이며, 이에 대한 신약가치를 비로소 동사 기업가치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또한, 시나픽스의 ADC 기술을 통해 도출된 c-MET ADC CKD-703의 임상1상 개시, EGFR/c-MET 이중항체 CKD-702 등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진전 확인에 따른 추가 업사이드도 존재한다고 판단된다고 밝힘.▷다만, 3Q25 COE 변동에 따른 WACC 조정(6.76% -> 7.29%)을 반영했고, 2025E/2026E 영업이익을 하향조정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0원 -> 110,000원[하향]LS에코에너지(229640) : 2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LS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연결 영업실적은 매출 2,466억원(yoy +6%), 영업이익 224억원(yoy +52%), 영업이익률 9.1%(yoy 2.8%P↑)으로 yoy 대호조 지속과 함께 종전 전망치(매출 2,565억원, 영업이익 129억원, 영업이익률 5.0%) 및 컨센서스 전망치(매출 2,417억원, 영업이익 139억원, 영업이익률 5.8%) 대비 매출은 대체로 부합하나 영업이익은 대폭 초과하는 Big Surprise를 전망한다고 밝힘. 이는 LS-VINA 의 초고압케이블 유럽 향 수출 호조 지속, LS-VINA 의 베트남 경기 회복세에 따른 배전케이블 내수 호조 지속, LSVINA 의 미국 향 URD 배전케이블 수출매출 신규 반영, LSCV 의 UTP 케이블 미국 수출 호조 지속이라고 설명.▷아울러 희토류 사업 관련 흥틴과의 사업은 사실상 Drop 하고 베트남 내 다른 광산 업체와 새롭게 판을 짜고 있다며, 원점에서 다시 판을 짜는 등 일정 변경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나, 베트남이 희토류 가채광 매장량 세계 2위 국가로서 정부가 희토류 사업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 잠재력이 유효하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원[유지]삼성 그룹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 무죄 확정 소식에 상승▷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이날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전부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음. 함께 기소된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미전실) 실장,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 장충기 전 미전실 차장 등 나머지 피고인 13명도 무죄를 확정받았음. 대법원은 "원심 판결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자본시장법, 외부감사법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밝힘.▷이에 업계에서는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난 이재용 회장이 삼성 그룹의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대규모 인수·합병(M&A), 투자, 그룹 혁신을 추진하며 '뉴삼성' 비전을 본격적으로 펼쳐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삼성 그룹주가 상승.[종목]: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물산에쓰씨엔지니어링(023960) : 최대주주 변경 속 상승▷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이브이첨단소재로 변경 공시. 변경후 소유주식수는 4,140,224주로 소유비율은 11.39%임.현대로템(064350) :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 공급 예정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에서 발주한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AGV 공급 사업의 발주의향서(LOI)를 수령했다고 밝힘. 항만 AGV는 부두의 컨테이너를 적재해 하차 장소까지 자동으로 이송하는 항만 물류 자동화의 핵심 설비로, 향후 동사는 본계약 절차를 걸쳐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와 함께 차량 운영에 필요한 관제시스템, 충전기 등 부대 설비를 공급할 예정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스마트 항만 기술 경쟁력 강화와 관련 국내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힘써 국산 항만 AGV의 핵심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항만 AGV를 적시적기에 공급하고 최적화된 사후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대덕전자(353200) : 2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소폭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메모리 재고 이슈 해소로 2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할 것이라며,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2,311억원(+7.3% QoQ, -3.0% YoY), 영업이익 55억원(흑자전환 QoQ, -49.2% YoY, OPM 2.4%)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이어 하반기부터는 AI 가속기의 실적 기여도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2분기까지는 소량 샘플 매출만 반영되겠지만, 3분기부터는 양산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언급. AI 가속기향 물량 대응을 위해 현재 400억원의 분기 캐파는 내년 상반기 내 1,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중립 -> 매수[상향], 목표주가 : 28,000원[신규]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면역증강제 활용 독감백신 임상 1/2상 IND 신청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체 개발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에 면역증강제를 적용한 신규 독감백신 후보물질 ‘NBP607B’의 임상 1/2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힘. NBP607B의임상 1/2상은 올해 북반구 독감 유행 시즌에 맞춰 국내외 고령자를 대상으로 시작되고, 기허가 된 고면역원성 백신을 대조약으로 비교해 약 320명을 대상으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며, 27년 내 중간 결과를 확인할 계획임.▷이와 관련, 동사 안재용 사장은 "시장에서 경쟁력이 검증된 스카이셀플루에 면역증강제를 활용한 백신 개발 경험이 더해지는 만큼 성공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이라며 "고면역원성 제품으로 특화된 시장을 창출하는 동시에 다른 백신에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확장해 다양한 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로 이어가겠다"고 밝힘.보령(003850) : 체플라팜과 조현병 치료제 '자이프렉사' CDMO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 체플라팜(CHEPLAPHARM)과 조현병 치료제 ‘자이프렉사정’(Zyprexa)의 글로벌 공급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은 동사가 경구제 형태의 글로벌 CDMO 계약을 체결한 첫 사례이며, 동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내년 말부터 유럽과 북미 등을 포함해 최대 46개국에 판매되는 자이프렉사정을 체플라팜에 공급할 예정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김성진 동사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보령이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오리지널 블록버스터 제품의 생산 역량과 글로벌 46개국 허가 및 공급능력을 동시에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힘.오후장 특징주★(코스닥)대성파인텍(104040) : AI 태양광 발전 시스템 상용화 기대감 등에 급등▷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태양광 스마트 발전 시스템 상용화에 나선다고 밝힘. 회사 측에 따르면 제주 9.81파크 및 인천국제공항 인근 조성 중인 9.81파크 인천공항 부지에 AI 기반 스마트 발전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으로, 해당 시스템은 발전량 예측, 발전 효율 최적화, 고장 진단, 전력망 안정화 등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 관리가 핵심인 것으로 전해짐.▷한편, ICT 기반 테마파크 기업 모노리스와의 합병을 앞두고, 에너지 신사업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본격화하는 행보로 전해지고 있으며, 동사는 양사 기술을 융합해 에너지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임.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7-17 15:02:51조회수: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