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지역화폐, 전자결제(전자화폐), 생명보험, 핀테크(FinTech), STO(토큰증권 발행), 스테이블코인, 마이데이터,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인터넷 대표주, 은행, 쿠팡(coupang), 블록체인, NFT(대체불가토큰), 인터넷은행, 면세점, 여행,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웹툰, 미용기기, 시스템반도체, 소매유통, 홈쇼핑,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철강 주요종목 등...약세 테마 : 국내 상장 중국기업, 원자력발전소 해체, 셰일가스(Shale Gas), 엔젤산업, 건설 대표주, 슈퍼박테리아,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캐릭터상품, 태풍 및 장마, 풍력에너지, 유리 기판,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태양광에너지, 원자력발전, 종합상사, 면역항암제, 자원개발, HBM(고대역폭메모리), 3D 낸드(NAND),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등... [특징 테마]지역화폐 : 31.8조원 규모 추경안 의결 속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대감 등에 상승▷이재명 정부 출범 한 달 만인 지난 4일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했으며, 5일 정부는 국무회의를 열어 국회를 통과한 추경안을 심의·의결했음. 올해 들어 두 번째인 추경안은 30조5,000억원 규모로 정부안이 편성, 이후 국회 심사 과정에서 약 1조3,000억원 순증됐음. 특히, 이번 추경안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 12조1,709억원이 반영됐으며,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예산이 6,000억원 증액됐다고 전해짐. 이에 따라 7월 말부터 전 국민에게 최소 15만원, 최대 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임.▷이와 관련,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한 31조8,000억원 규모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중 12조1,709억원을 차지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이달 21일부터 지급하겠다"고 언급.▷한편, 소비쿠폰 신청·지급은 1차와 2차와 나눠 진행된다고 알려짐. 1차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15만∼45만원이 지급되며, 2차는 국민 90%를 대상으로 10만원을 9월에 추가 지급할 예정임. 비수도권 국민에는 3만원, 인구감소지역은 5만원이 추가 지급되며, 2차 소비쿠폰까지 포함할 경우 1인당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5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쿠콘, 웹케시, 코나아이, 유라클,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지역화폐 테마가 상승.영상콘텐츠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 지속 등에 상승▷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지난달 20일 공개된 후 2주간 영화 부문 글로벌 1위를 기록. 넷플릭스에 따르면, K팝 아이돌을 주인공으로 한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는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넷플릭스 영화 부문 1위를 기록중.▷이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인기 상승세도 이어지고 있음. 미국 빌보드는 6일(현지시간) 차트 예고 기사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앨범이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서 전주보다 다섯 계단 상승한 3위를 기록했다고 밝힘. 또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유어 아이돌'(Your Idol)은 4일(현지시간) 글로벌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 '데일리 톱 송' 미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이 같은 소식 속 스튜디오미르, 애니플러스, 자이언트스텝, SAMG엔터, NEW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철강 주요종목 : 현대제철, 중국 감산 수혜 및 2분기 흑자전환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상상인증권은 현대제철에 대해 2분기 흑자전환에 중국 감산 소식까지 금상첨화라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 지난 2일 중국 중앙재경위원회 회의에서 철강, 태양광, 시멘트 업계의 구조조정 및 감산을 촉진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됐다며, 이는 한국 철강업계에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설명. 그러면서 중국 철강업계 감산 실행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은 단기적으로 해소될 것이라며, 당산 지역 철강업계의 감산 소식도 긍정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큰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이어 지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조8,000억원과 819억원으로 컨센서스를 소폭 밑돌 전망이지만, 지난 1분기 이익 회복을 저해했던 일회성 요인이 제거됐고 판재 및 봉형강 스프레드 개선에 힘입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어 봉형강은 지난 4월 인천 공장의 가동중단 조치에 이어 당진 철근 라인 비가동, 인천 철근 공장 정기보수 등 감산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현재 착공 환경을 고려하면 하반기 건설경기 본격적 회복은 제한적이나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이 같은 소식 속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지주, 동국씨엠 등 일부 철강 주요종목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동양생명(082640) : 우리금융지주, 동사 잔여지분 추가 매입 검토 소식에 급등▷지난 4일 장 마감 후 일부 언론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가 동사 잔여지분(약 21.20%)을 모두 취득한다는 목표로 인수 방식과 시기 등 전략 마련에 착수했다고 알려짐. 우리금융은 앞서 동사 경영권 지분(75.34%)을 인수하고 이달 1일 자회사로 최종 편입시킨 바 있으며, 동사를 100% 자회사로 만들어 상장폐지 하는 등 효율성을 높이려는 차원이라고 전해짐.▷이와 관련, 우리금융 관계자는 "동양생명 잔여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방식이나 시기 등 관련 절차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힘.▷한편, 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금융지주도 소폭 상승세를 기록.일동제약(249420) : 日동전파스 '로이히츠보코' 국내 정식 출시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전 파스'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로이히츠보코'를 국내에서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일본 니치반과 계약을 맺고 한국 내 정식 상품인 '로이히츠보코 코인플라스타'를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국내 약국 시장에 독점 공급한다고 설명. 로이히츠보코는 소염·진통·진양 작용을 하는 첩부제 형태의 일반의약품으로, 베이지색의 둥근 외형과 온감을 자극하는 특유의 화끈하고 개운한 사용감이 특징임.▷동사 관계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취득한 국내 정식 제품 공급을 통해 소비자들의 편익과 선택의 폭을 넓히고, 건전한 의약품 유통 문화를 조성하는 데에 동참할 방침"이라고 밝힘. 이어 "약국가를 중심으로 로이히츠보코의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한 신제품 마케팅 전개와 더불어 약사 등 전문가들과 협력해 약국 시장 활성화에 보탬이 되는 다양한 활동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힘.에이피알(278470) :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전망 등에 강세▷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2,964억원(YoY +91%), 637억원(YoY +128%)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 메가와리 행사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유럽/중화권에서도 별다른 마케팅 없이도 매출이 크게 성장 중이라고 밝힘. 가파른 매출 상승에 따른 마케팅비 비중도 1Q25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글로벌 내 메디큐브의 가파른 인지도 상승에 따른 강력한 레버리지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0,000원 -> 195,000원[상향]롯데웰푸드(280360) :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주가는 12MF PER 10.0배에 거래되며 바닥을 다지고 있는 가운데, 코코아 가격이 톤당 8,000달러 내외에서 숨을 고르고 있고 가격 인상 효과가 점진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하반기로 갈수록 원가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 국내 빙과 사업은 저효율 SKU 축소 덕분에 성수기인 3분기에 고정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인도 사업은 건·빙과 법인 합병을 통해 두 법인의 영업망을 공유하며 중장기 성장을 이뤄낼 것으로 추정.▷한편, 동사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775억원(+3.2% YoY), 영업이익 460억원(-27.4% YoY, OPM 4.3%)을 기록하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7.8% 하회할 전망이라고 밝힘. 다만, 해외 사업 실적은 매출액 2,461억원(+12.2% YoY), 영업이익 181억원(-16.3% YoY, OPM 7.3%)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0,000원[유지]한국콜마(161890) : 선크림 수출 호조에 따른 2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7,433억원(YoY 13%), 856억원(YoY +19%)으로 시장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전년 높은 기저와 및 경쟁사의 선제품 공격적 영업에도 불구하고, 선제품 주력 고객사 1Q에 이어 2Q에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며 여전히 선제품 매출 견조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이는 최근 유럽 등 글로벌향 K-선크림 수출 호조에 기인한다고 분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0,000원 -> 125,000원[상향]파라다이스(034230) : 안정적인 실적 흐름 전망 등에 상승▷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간 실적의 경우 효율적인 비용 집행 및 중국VIP 방문객 지표 개선세에 힘입어 안정적인 흐름 이어갈 것으로 전망. 특히, 주력 고객층이 겹치는 아시아 주요 카지노업체들의 멀티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상시화에 따른 인바운드 성장세로 동사 카지노는 새로운 성장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 아울러 시장의 우려를 낳던 호텔까지 그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할증(20%)을 부여하였다고 설명.▷또한, 파트너사(세가사미(카지노), HIS(여행))의 강한 일본 마케팅 역량, 복합리조트(P-City)를 활용한 중국 단체관광객 유인 역량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중국 단체관광객 비자면제 상시화 시 카지노, 리조트 양쪽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500원 -> 19,000원[상향]신한지주(055550)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전망 등에 상승▷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과 낮은 자산성장, 안정적인 실적에 힘입어 CET1비율이 3월말 13.27%에서 6월말 13.4~13.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이는 사측이 제시한 적정 자본비율(13.1%)을 여유 있게 초과하는 수준이라고 언급. 이어 양호한 자본비율을 바탕으로 하반기 약 5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이 예상되며, 이는 기존 예상(3,500억원)을 상회하는 것이라고 언급. 이를 반영한 연간 총 주주환원율도 45.5%로 전년(40.2%) 및 사측의 기존 올해 밸류업 계획(약 42~43%)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아울러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25년 PBR은 여전히 0.57배에 불과하다고 밝힘. PBR 1배 미만에서는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으로 BPS 개선을 통한 PBR 하향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밸류에이션 매력은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라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3,000원 -> 87,000원[상향]NAVER(035420) : AI 전략 실행 속도 가속화 기대감 분석 등에 상승▷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AI ADVoost 기반 검색/디스플레이/쇼핑광고 경계를 뛰어넘는 광고 집행 기조 변화를 반영해 25년 추정 광고 매출 기준을 서치플랫폼+쇼핑광고 합산으로 변경한다고 밝힘. 이어 커머스, 클라우드 사업부문에 있어 peer group multiple 상승을 반영함에 따라 목표주가를 상향한다고 설명. 동사는 올해 AI 브리핑을 통해 기존 비즈니스 쿼리 중심에서 정보전달형 쿼리로 범위를 재확장하고, 2H25 통합검색 개인화/피드 확장을 통해 정보성 쿼리에서의 광고 매출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아울러 커머스에서도 마켓컬리, 컨텐츠(음악 스트리밍/게임 플랫폼) 등 멤버십 강화와 연내 쇼핑 중심 AI 에이전트 런칭을 통해 내수회복시 수혜가 전망된다고 밝힘. 또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GPU 확보/구축/운용지원 사업’ 등 정부 주도 프로젝트 사업자로 선정 및 정책 투자 지원 유치시 동사의 AI 전략 실행 속도 가속화와 외연 확장도 기대된다고 설명.▷한편, 2분기 매출 2.91조원(YoY +11.5%), 영업이익 5,207억원(+10.2%)로 컨센서스(매출 2.9조원, 영익 5,352억원)를 부합할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5,000원 -> 330,000원[상향]제일기획(03000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상승▷DB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매출총이익은 4,811억원(+6.1%yoy), 영업이익 914억원(+3.6%yoy)으로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933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본사 매출총이익은 +1.8%yoy 예상하며, 해외 매출 총이익은 +7.4%yoy의 양호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언급. 4Q24 인수한 북미와 인도 지역 자회사 실적도 반영되고 있고, 신흥국은 계열 디지털 물량 중심으로 실적 성장이 양호한 것으로 추정.▷아울러 25년E DPS 1,300원 기준으로 예상 배당수익률은 6.4% 수준이라며, 계속되는 부진한 광고 경기에도 동사는 국내외 비계열과 디지털 중심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고 있어 긍정적이라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6,000원[유지]LG에너지솔루션(373220) : 美 IRA 혜택 제외해도 2분기 영업이익 흑자 기록 등에 상승▷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56조원(전년동기대비 -9.68%), 영업이익 4,922.00억원(전년동기대비 +152.02%).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금액은 4,908억원으로, 이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14억원, 영업이익률은 0.03%라고 설명. 한편, 보조금을 제외하고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한 건 6개 분기만임.▷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전방 시장 수요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도 유럽 EV향 신규 케미스트리 제품 양산 개시, ESS 북미 현지 생산 본격화 등을 발판 삼아 하반기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며, 지속적인 원가 절감 노력과 고마진 프로젝트 중심의 EV 매출, 미국 현지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한 ESS 물량 조기 대응 등으로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라고 알려짐.삼양식품(003230) : 예상보다 더 큰 공급능력 확대 효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6월 밀양2공장이 준공되면서 공급능력 확대가 본격화된 가운데, 추가되는 공급능력은 연간 8.3억식으로, 기존 예상했던 6.9억식 대비 20% 높은 수준이라고 밝힘. 공급능력 확대로 미국 코스트코 등 주요 유통처향 물량이 증가하고, 믹스 개선에 따른 이익률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하반기 중 미국 라면 가격 인상 가능성도 존재하는데, 강한 제품 수요를 바탕으로 가격 민감도가 낮은 만큼 가격 인상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또한, 당사 Cost of Equity의 상승으로 WACC이 기존 대비 상향됐으나 (기존 7.61% → 8.48%), 공급능력의 추가적인 확대를 반영해 2026년~2031년 영업이익 연평균성장률 추정치를 기존 7.6%에서 9.7%로 상향조정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50,000원 -> 1,500,000원[상향]이마트(139480) : 하반기 회복 전망 등에 소폭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조807억원(+0.3% YoY), 영업이익은 327억원(흑자전환 YoY, OPM +0.5%)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2분기 할인점의 기존점 신장은 0~+0.5% 수준이며, 공동매입과 체질 개선 효과 덕분에 별도 영업이익은 202억원(흑자전환 YoY, OPM +0.5%)을 기록할 걸로 예상.▷아울러 올해 아웃바운드의 증가 속도가 더딘 점과 정부의 추경 등으로 소비 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하반기에 기존점 신장은 시장의 낮은 기대를 넘어서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할인점 기준, 3Q25F +1.2% YoY, 4Q25F +5.8% YoY).▷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5,000원[유지]시프트업(46287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소폭 하락▷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수익 846억원(+29.7%YoY, +100.3%QoQ), 영업이익 587억원(+30.4%YoY, +123.6%QoQ, OPM 79.4%)으로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승리의 여신: 니케] 글로벌은 2.5주년, [스텔라 블레이드]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며, 일본 지역의 트래픽 감소, [스텔라 블레이드] 인지도 부족이 원인이라고 설명.▷이어 올해 실적은 2025년 영업수익 2,626억원(+17.2%YoY), 영업이익 1,814억원(+18.8%YoY, OPM 69.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스텔라 블레이드]의 서프라이즈는 놀라운 수준이나 문제는 [승리의 여신: 니케]에 있다며, 글로벌은 1분기부터 전년 대비 -10% 이상 역성장하며 하향세에 있고, 2026년 모멘텀, 실적 공백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하반기 글로벌, 중국의 지표 반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6,000원 -> 77,000원[하향]한국가스공사(036460) : 2분기부터 현금흐름 개선 본격화 속에도 요금 인상 필요 분석 등에 약세▷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법 개정으로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에 따른 가스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가스요금 억제 정책이 대주주인 정부와 소액주주의 이익의 방향성이 다른 것으로 간주되기 쉽지 않다고 밝힘. 또한, 미수금의 원인인 되는 원료비의 가스요금 반영은 이사회 결정 사항이 아니라고 설명.▷1Q25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4.1조원, 차입금비율은 341%로 높은 상황이며, 유가 및 환율 하향 안정화에도 미수금 회수 예상금액은 25년 0.5조원(가정: LNG 적용 유가 72달러/bbl, 1,392원/달러), 26년 1.2조원(가정: LNG 적용 유가 65달러/bbl, 1,350원/달러)에 불과하다고 설명. 향후 알래스카 LNG 구입 및 프로젝트 지분 투자 결정 시 투자금이 필요하며, 중장기 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투자금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힘. 이에 올해 동절기 이전에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언급.▷다만, 2H25 이후 도시가스 미수금 축소 본격화, 캐나다 LNG 프로젝트 상업가동 및 생산량 증대(25년 13만톤, 26년 50만톤, 27년 68만톤), 가스요금 인상 가능성 존재, 알래스카 LNG 투자 시 적정투자보수 증가 등 중장기 현금흐름 개선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 -> 60,000원[상향] 오전장 특징주★(코스닥)싸이닉솔루션(234030) : 신규상장 첫날 급등▷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4,700원을 상회한 10,08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한편, 동사는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서비스 및 파운드리 서비스 업체로,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SK hynix System IC)의 공식 파운드리(Foundry) 판매대행 협력사이자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로서, SK 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고자 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들에게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개발된 웨이퍼 또는 칩을 팹리스 고객사에게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쿠콘(294570) :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핵심 인프라 구축 본격화 소식 등에 급등▷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올해 디지털자산 2단계 법안 시행에 대비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힘. 오랜 기간 구축해온 API 인프라가 스테이블코인도입 확산과 함께 핵심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한층 발휘할 것이라고 설명.▷오는 8월에는 유니온페이, 위쳇페이, 리퀴드, 알리페이 등 글로벌 간편결제 플랫폼과 제휴해 해외 관광객이 국내 가맹점에서 기존 페이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간편 결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힘. 또한,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핀테크 허브 시장 선점을 통해 글로벌 결제·정산 서비스 사업을 적극 확대할 예정이라고 언급.▷김종현 동사 대표는 “2025년은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본격화되는 전환점”이라며,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2028년까지 2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동사는 이 시장 성장의 구조적 수혜를 누릴 대표적인 인프라 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힘.솔디펜스(21509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30.97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지난 4일 장 마감 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와 30.9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24%) 규모 공급계약(전술다련장 회로카드조립체) 체결(계약기간:2025-07-04~2027-02-10) 공시.칩스앤미디어(094360) : 차세대 비디오 코덱 'APV' 상용화 임박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차세대 비디오 코덱 ‘APV(Advanced Professional Video)’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밝힘. 현재 APV 인코더·디코더 하드웨어 IP의 최종 설계를 마무리 중이며, 2025년 3분기 내 상용화를 완료할 예정. 이번 초고화질 비디오 코덱은 핸드셋, 태블릿, 랩탑, 모바일 기기까지 포함, 안드로이드(Android)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엣지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여, iOS 비디오 코덱인 ProRes의 대항마가 될 것으로 예상.▷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자사 기술이 이번 APV 코덱 개발 공급을 통해 엣지 디바이스 분야까지 확대됨에 따라 매출 성장은 물론 영상분야 글로벌 리더들과의 신규 사업협력도 기대된다"고 밝힘.플랜티넷(075130) : 자회사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과기부 AI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소식에 강세▷동사의 자회사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는 언론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모태펀드 출자사업에서 AI 부문 위탁운용사(GP)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힘. 한국모태펀드는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 재정으로 조성되는 정책 자금으로, 분야별 전문 운용사를 선정해 벤처펀드에 출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는 15대 2의높은 경쟁률을 뚫고 AI 부문 GP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K-AI 펀드에도 직접 참여해 AI 산업 성장을 도모하고, 유망 기업을 선별해 사업 파트너로서 AI 생태계 확장에 힘쓸 계획"이라며 "또한 이미지 AI, 메타데이터 AI 등 자체 보유 기술을 바탕으로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와의 시너지 창출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힘.에스엠씨지(460870) :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 공급 협의 소식에 상승▷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기존 고객사인 로레알 외에도 신규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과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파(破)유리를 재활용하면서도 투명성을 확보한 친환경 유리 기술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복수의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과 공급을 놓고 협의 중"이라며, "로레알의 최상위 브랜드인 랑콤에 제품을 납품한 이력이 신뢰도를 높이며, 타 글로벌 브랜드의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씨피시스템(413630) : 국내 메이저 조선사로부터 셔틀탱크 선박용 특수체인 수주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메이저 조선사로부터 셔틀탱크 선박용 특수체인을 수주했다고 밝힘. 이는 9척의 선박에 적용될 특수체인이며, 이 중 1차로 1척 물량에 대해 발주를 받은 것으로, 향후 8척에 대한 수주도 예정돼있다고 설명.▷이번 수주는 단순한 계약 이상의 전략적 성과를 포함한다며, 동사는 국내 조선사들과 수의계약 형태로 공급을 진행 중이며, 이번 1차 물량은 오는 10월 납품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후 나머지 8척 분량에 대한 추가 발주, 납품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라고 언급.▷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 조선업계는 이미 2027년까지 수주 잔량이 모두 채워진 상황이며, 회사의 특수케이블체인 수요도 동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앞으로도 기술 고도화와 해외 시장 다변화를 통해 글로벌 조선산업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힘.우수AMS(066590) : 최대주주 변경 속 상승▷지난 4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식회사 퓨트로닉으로 변경 공시. 변경후 소유주식수는 7,136,807주로 소유비율은 18.27%임.노을(376930) : 씨젠 브라질과 AI 기반 자궁경부암 솔루션 관련 양해각서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씨젠 브라질(Seegene Brazil)과 자사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솔루션 ‘마이랩 CER(miLabTM CER)'의 현지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사는 씨젠 브라질의 영업 지역 내에서 동사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솔루션 miLab CER을 비롯한 동사 제품 포트폴리오의 비독점적 유통 계약 체결을 목표로 다방면에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언급.▷임찬양 동사 대표는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세포진단(Cytology) 분야에서 씨젠이 가진 전문성과 브라질 내 유통망을 결합해 동사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플랫폼의 브라질 유통을 위한 다각도의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포커스에이아이(331380) : 총 49.98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소폭 하락▷지난 4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위허브(최대주주) 대상 1,009,591주(1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981원, 상장예정:2025-09-15) 공시. 아울러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박성일(개인) 대상 1,514,386주(2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981원, 상장예정:2025-08-05) 공시.▷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소프트POS(포스), 스테이블 코인 등 페이먼트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최고 수준 결제 보안 인증 'MPoC(상용기기 기반 모바일결제)' 획득, 스테이블 코인⋅크립토 결제 솔루션 개발 등에 각 1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힘.오늘이엔엠(192410) : 최대주주 변경 속 하락▷지난 4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오늘바이오 외 1인으로 변경 공시. 변경 후 최대주주인 (주)오늘바이오 외 1인의 소유비율은 20.38%임.넥써쓰(205500) : 가상화폐 크로쓰 가격 급락 소식에 급락▷언론에 따르면, 지난 4일 글로벌 거래소에서 거래를 시작한 크로쓰 코인은 상장 직후 크게 가격이 내려가며 금일 오전 기준 0.06달러 전후로 거래된 것으로 전해짐. 전날에는 한때 '반토막' 이하인 0.045달러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알려짐. 크로쓰는 거래소 상장 전 '퍼블릭 세일'을 통해 개당 0.1달러의 고정 가격으로 일반에 판매된 바 있음.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7-07 11:27:06조회수: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