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IT 대표주, 아이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폰,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무선충전기술, HBM(고대역폭메모리), 갤럭시 부품주, 조선, 반도체 재료/부품, LED장비, 비만치료제,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3D 낸드(NAND), 반도체 장비, 유리 기판,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화이자(PFIZER),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약세 테마 : 건설 대표주, 캐릭터상품, 면세점, 지역화폐, 홈쇼핑, 음원/음반, 화학섬유, 리튬, 모바일게임(스마트폰), 영상콘텐츠, 게임, 엔터테인먼트, 김밥(냉동김밥 등), 우크라이나 재건, 조선기자재, 건설 중소형, 미용기기, 퓨리오사AI,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4대강 복원, 태풍 및 장마, 건설기계, 피팅(관이음쇠)/밸브, 네옴시티,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편의점, 비료,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등... [특징 테마]비만치료제 : 글로벌 비만시장 고성장 분석 및 대웅제약,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탑재 마이크로니들 패치 성과 소식 등에 상승▷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rand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334억 달러에서 2025E-2030E 연평균 13.7% 성장하여 총 733억 달러로 확장될 것이라고 밝힘. 고속성장세의 주요 요인은 증가하고 있는 비만율, 연관된 합병증(당뇨/심혈관질환/고혈압) 등의 증가를 꼽을 수 있고, 지속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는 이유는 만성질환으로의 인식이 증가하며 효과적인 약물학적 치료 필요성 부각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비만과의 전쟁은 단순 인구 건강의 보존뿐만 아닌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과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판단된다고 밝힘.▷이어 초기 GLP-1 단일제제 리라글루타이드(빅토자/삭센다)를 필두로, 둘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오젬픽/위고비) 그리고 GLP-1/GIP 다중제제 터제파타이드(마운자로/젭바운드)가 성공적으로 개발되며 제2형 당뇨/비만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옵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업적 성과를 거두었지만, 현재는 단순 GLP-1에만 집중하지 않고 보다 완전한 효능을 위해 GIP, GCG(글루카곤) 등과 같은 타깃도 같이 공략되고 있으며, 이제는 단순 체중감량의 퍼센티지가 아닌 체중감량의 질(quality of weight loss, 근보존량/체지방 감소)에도 초점을 두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기존 GLP-1 기반 치료제는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어 확장성(scalability) 및 생산의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고 저분자(small molecule)로의 연구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피하주사제에서 복용편의성이 개선된 경구제형으로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한편, 대웅제약과 대웅테라퓨틱스는 언론을 통해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탑재한 자체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초기 약물 흡수 실험(Pilot PK)에서 주사제 대비 생체이용률이 80% 이상에 달하는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힘. 연구는 건강한 성인 70명에게 대웅테라퓨틱스가 개발한 약물전달 기술 플랫폼 클로팜(CLOPAM)이 적용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패치를 피부에 부착해 체내에 흡수된 약물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뒤 같은 조건에서 기존 비만치료제인 세마글루타이드 피하주사를 투여했을때 혈중 농도를 측정해 두 약물 간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음.▷이 같은 소식에 펩트론, 블루엠텍, 올릭스, 인벤티지랩, 대웅제약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항공/저가 항공사(LCC) : 환율 훈풍 속 中 노선 회복 가속 등에 상승▷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환율 훈풍에 중국 여객 회복(19년 대비 -5.4%)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정부의 단체관광객 비자 일시면제(3분기 중) 역시 기대 요인으로 분석. 7월 인천공항 국제선 여객수는 619만명(+1.6% YoY, 전월 +3.0%)을 기록한 가운데, 환승객이 다시 역성장(19년 대비 -1.6%, 전월 +3.6%) 전환했지만, 비환승 여객(19년 대비 +0.4%, 전월 -1.6%)이 반등하며 이를 상쇄했다고 밝힘.▷7월 LCC 국제선 여객수는 337만 9천명으로 +2.3% YoY(전월 +2.5%) 성장했으며, 19년 대비로는 크게 개선(+17.9%, 전월 +9.6%)이 나타났다고 밝힘. 점유율 역시 유의미한 상승(+49.6%, 전월 +48.7%)이 돋보였다고 밝힘. 제주항공의 점유율은 10.5%(전월 9.8%)로 MoM 개선되었으며, 사고 이전(24년 12월 10.4%)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힘. 기타 상위 LCC의 경우 티웨이(8.0%, 전월 8.5%)가 지분을 일부 반납한 반면, 통합사 출범을 앞둔 진에어(8.6%, 전월 8.4%), 에어부산(5.0%, 전월 4.8%), 에어서울(2.0%, 전월 2.2%)는 견조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이 같은 소식에 대한항공, 한진칼, 에어부산, 진에어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오후장 특징주★(코스피)삼일제약(000520) : 허승범 대표, 한-베트남 정상회담 국빈 만찬 참석 소식 속 소폭 상승▷언론에 따르면, 허승범 대표이사가 지난 11일 또 럼 베트남 당서기장의 국빈 방한을 기념한 국빈 만찬에 초청받아 베트남 측 주요 인사들과 교류의 시간을 가진 것으로 전해짐. 이번 만찬은 대통령실 주요참모, 정부 인사를 비롯해 국내 주요 재계, 금융계, 학계, 체육계, 문화계 인사 등 66인이 참석했으며, 베트남 또 럼 당서기장을 비롯해 주요인사 55인 등이 참석하는 등 양국 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강화를 위해 한국과 베트남 파트너십의 주요인사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동사의 베트남 플랜트는 내년부터 본격 가동 예정으로,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방한을 계기로 양국 간 협력이 강화돼 베트남 내 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동반 성장 및 국위 선양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힘.한샘(00924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분석 등에 소폭 하락▷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2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4,594억원(-3.9%, YoY), 영업이익 23억원(-68.2%, YoY)으로 시장 예상치(영업이익 83억원, 3개월 기준)를 하회했다고 밝힘.▷아울러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는 신규 분양 회복 지연, 주택매매거래 감소 등 건자재 산업에 대한 우려를 확대시키고 있고, 비우호적인 대외 환경과 단품 위주의 리하우스 성장 전략, 매출 성장률 둔화는 동사에 대한 B2C 프리미엄 부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언급. 이어 2025년 현금 배당은 2024년 상암동 사옥 매각과 주주환원 재원 활용으로 전년대비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편, 2025년 하반기, B2C 부문은 신제품 라인업 확대, 인플루언서/PPL을 활용한 성장 전략을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 다만, 여전히 토탈 패키지가 아닌 단품에 국한된 B2C 전략은 과거 고성장을 보였던 리하우스 채널 성장의 한계점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투자의견 : Trading Buy -> 중립[하향], 목표주가 : 45,000원[유지]오후장 특징주★(코스닥)토탈소프트(045340)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한가▷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6.52억원(전년동기대비 +140.99%), 영업이익 51.01억원(전년동기대비 +947.43%), 순이익 32.45억원(전년동기대비 +375.80%).이엠앤아이(083470) : 2분기 전기대비 흑자전환에 급등▷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62.86억원(전기대비 +4.45%), 영업이익 2.12억원(전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75억원(전기대비 흑자전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정학적 긴장과 관세 갈등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기존 레드호스트(Red Host) 제품뿐 아니라 썸머스프라우트 P-도판트 판매 등 제품 다변화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며, "향후 프리미엄 기기를 중심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가 꾸준히 확대됨에 따라 주력 핵심 부품·소재 사업은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누리플랜(069140) : 2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에 급등▷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9.86억원(전년동기대비 +31.62%), 영업이익 56.7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46.50억원(전년동기대비 +3,847.53%).디앤디파마텍(347850) :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기대감 등에 강세▷KB증권은 동사에 대해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텍으로 자체 경구 제형화 플랫폼인 ORALINK를 기반으로 비만, MASH 등 미충족 수요가 높은 대사질환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고 밝힘. 주요 비만 파이프라인은 미국 파트너사인 멧세라에 기술이전하여 임상을 진행하고 있고, 자체적으로는 MASH 대상 DD01,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NLY01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특히, MASH 대상 DD01의 임상 성과, 연내 발표가 기대되는 경구제화 최적화 물질의 비만 대상 초기 효능 (MET-097o 또는 MET-224o)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MASH 대상 진행 중인 GLP-1/GCG DD01의 경우 지난 6월 16일 임상2상 탑라인 데이터를 공개하며 12주 투여 후 MRI-PDFF 기준 간 지방이 30% 이상 감소한 투약군은 75.8%를 달성한 반면 위약군은 11.8%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보한 바 있다고 설명. 파트너사 멧세라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 경구제형 GLP-1 비만치료제 MET-224o/MET-097o의 경우 연내 임상1/2상 효능 결과 확인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밝힘.▷아울러 바이오텍 산업 특성 상 특정 파이프라인에 대한 집중과 임상개발 실패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지만, 동사의 경우 임상2상 진행 중인 MASH 후보물질과 더불어서 미국 멧세라와의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력의 상업적/기술적 검증이 완료되었고, 비만, 신경퇴행성 질환 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이로부터 보다 자유로운 점이 긍정적이라고 밝힘.빛과전자(069540) : 알펜시아 '럭셔리 분양형 호텔' 개발 본격화 기대감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알펜시아 리조트와 함께 핵심 토지 3만8,745㎡를 활용해 세계적인 프리미엄 복합 리조트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힘. 알펜시아 리조트는 해발 700m 고지에 위치해 '아시아의 알프스'로 불리며, 백두대간의 수려한 풍광과 동계올림픽을 통해 검증된 세계적 수준의 시설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대표 산악형 리조트로 알려져 있음. 이곳에 지하 2층~지상 6층, 총 173세대, 연면적 5만5,867㎡ 규모의 하이엔드 숙박시설 건립을 위한 인허가 절차가 진행중이며,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동사는 최상의 럭셔리 브랜드 호텔과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추진하고 있음.▷한편, 동사는 지난달 임시주총을 열고 국내외 부동산 매매업, 골프장 운영업 등을 신규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바 있음.아이퀘스트(262840) : 2분기 호실적 및 역대 최대 반기 실적 달성 등에 소폭 상승▷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5.61억원(전년동기대비 +21.33%), 영업이익 10.39억원(전년동기대비 +291.67%), 순이익 7.9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5년 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 203억원, 영업이익 21억원, 순이익 3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13%, 영업이익은 22,128%, 순이익은 862% 급증했다고 설명. 이번 실적은 주력제품 ‘얼마에요ERP’의 성장과 신제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고, 특히 체계적인 비용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원가구조 개선으로 이익이 급속하게 늘어난 부분이 주목할 만하다고 언급했음.▷김순모 대표이사는 “자사 제품들의 경쟁력과 서비스를 강화하는 동시에 AI를 핵심 전략 사업으로 기술 및 솔루션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며, “올해 9월 강남 사옥으로 본사를 이전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AI 인재 육성 및 사업 확장 본격화로 향후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을 만들어 나갈것”이라고 밝힘.알피바이오(314140) : 연질캡슐 감기약 CDMO 시장 공략 본격화 기대감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5년 1월 개정된 '의약품 표준제조기준'에 발맞춰 연질캡슐 기반 감기약 신제품 개발 및 생산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힘. 이번 개정안에 따라 다수의 기존 감기약 제품이 리뉴얼 대상이 되면서, 국내 감기약 연질캡슐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동사가 신속하고 규제에 부합하는 위탁개발생산 파트너로서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 이에 동사는 올해 조아제약 '콜콜콜드', 경남제약 '세다 큐업' 3종, 동화약품 '파워콜노즈큐' 등 5건 이상의 감기약 신제품 출시를 지원할 예정.▷장희정 의약품 마케팅 팀장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규제 기준 변화에 따라 유사한 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를 신규 수주와 수출 확대의 성장 모멘텀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힘.로킷헬스케어(376900) : 2분기 수익성 개선 분석 등에 소폭 상승▷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상반기 실적은 매출액 97.1억원 (+40.6% YoY), 영업손실 1.9억원 (+88.7% YoY)을 기록했다고 밝힘. 특히, 상장 후 첫 분기인 2분기에 0.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며, 이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 사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이어 글로벌 피부재생플랫폼 판매 확대 전략을 바탕으로 2025년 글로벌 KIT 예상 판매량은 2024년 2,276개에서 약 3.2배 증가한 7,340개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현재 적응증 확장(연골, 신장 등)도 기대되어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KT지니뮤직(043610) : 2분기 호실적 등에 소폭 상승▷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34.67억원(전년동기대비 -0.32%), 영업이익 50.23억원(전년동기대비 +9.14%), 순이익 43.3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동사는 언론을 통해 음악·전자책 구독상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2분기 실적이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 또한, 하반기에는 AI 기반 음악플랫폼 ‘지니’ 서비스 고도화, 공연 사업 영역 확장, 버추얼 IP 사업 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실적 성장을 추진할 계획임.진성티이씨(036890) : 호황 국면 분석 및 밸류에이션 확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건설 중장비 부품 제조 기업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유리한 시장 환경이 조성되면서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호황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아 미국 내 인프라 투자에 수혜 강도가 높은데, 현재 글로벌 빅테크들은 대규모 AI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확장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있는 상황이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의 반도체 생산 시 무관세 혜택 부과 등 ‘리쇼어링 전략’을 추진하면서 제조 기업들의 미국 내 인프라 투자 확대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아울러 동사의 2Q25 실적은 매출액 1,185억원(+17.2%, YoY), 영업이익 118억원(+90.0%,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2024년 말 고객사들의 재고 소진 이후 올해 초부터 수주가 늘어나고 있으며, 중장비 부품 업황 상승 사이클 초입에 진입한 상황이라고 언급. 동사의 최대 고객사인 글로벌 중장비 제조 1위 기업 ‘캐터필러(매출 비중 약 60%)’의 수주 잔고는 2023~2024년 약 30억달러 -> 2Q25 약 37억달러로 급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고성장 초입 구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힘.캐프(198080)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44.55억원(전년동기대비 +2.42%), 영업이익 43.88억원(전년동기대비 -14.58%), 순이익 27.91억원(전년동기대비 -66.30%).인피니트헬스케어(071200) :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7.75억원(전년동기대비 +8.15%), 영업이익 13.24억원(전년동기대비 -66.15%), 순이익 9.52억원(전년동기대비 -88.74%).원텍(336570) : 2분기 실적 발표 속 급락▷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98.08억원(전년동기대비 +37.21%), 영업이익 172.72억원(전년동기대비 +145.93%), 순이익 92.02억원(전년동기대비 +108.00%).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8-13 14:54:40조회수: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