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슈퍼박테리아,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해운, 3D 프린터, 항공/저가 항공사(LCC), 모더나(MODERNA),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비만치료제, 면역항암제,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화이자(PFIZER), 의료AI, 제대혈, 태풍 및 장마, 3D 낸드(NAND),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반도체 대표주(생산), 엠폭스(원숭이두창), LED장비, 제습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HBM(고대역폭메모리), 카지노,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공기청정기, 유리 기판, 줄기세포, 반도체 장비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지역화폐, 퓨리오사AI, 면세점, 4대강 복원, 건설 대표주, 테마파크, 2차전지(생산), 웹툰, 출산장려정책, 교육/온라인 교육, 쿠팡(coupang), 리모델링/인테리어,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엔젤산업, 영화, 조림사업, 두나무(Dunamu),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건설 중소형,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美/中 무역 합의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7.04%) 급등 영향 등에 상승▷미국과 중국이 서로 부과한 관세를 90일간 대폭 낮추기로 합의하면서 지난밤 뉴욕증시는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14.43(+7.04%) 급등한 4,780.93을 기록. 애플(+6.31%), 엔비디아(+5.44%), 마이크로소프트(+2.40%), 아마존(+8.07%), 알파벳A(+3.74%), 메타(+7.92%), 테슬라(+6.75%) 등 M7 종목들이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으며, AMD(+5.13%), 브로드컴(+6.43%), 퀄컴(+4.78%), 인텔(+3.5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7.49%) 등 여타 반도체 업체들도 동반 상승.▷美/中간 무역 합의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 美•中 양국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공식 무역 협상을 한 후 12일(현지시간) 90일간 상호 부과한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미국은 대중 관세를 기존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일시적으로 낮추게 되며, 양국은 우선 관세를 낮춘 뒤 향후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음.▷이 같은 소식 속 금일 SK하이닉스, 라온테크, 티에프이, 엘티씨, 미래반도체, 파두, 한화비전 등 반도체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등: 美 공화당, 전기차 세액공제 2027년 조기 종료 추진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언론에 따르면, 美 공화당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전기차 세액공제 조기 종료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미국 하원 세입위원회 공화당 의원들은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세제 법안에서 IRA의 전기차 세액공제를 2027년에 폐지하는 내용을 포함했으며, 세액공제 시한을 당초 2032년 말에서 2026년 말로 앞당긴 것으로 알려짐. 특히, 2026 과세연도에 구매한 전기차의 경우 생산 업체가 2009년 말부터 2025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한 전기차가 20만대를 넘으면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했음.▷이 같은 세액공제 조기 종료 영향으로 전기차 수요가 위축, 미국 내 전기차 보급 확산이 억제되면서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둔화)이 장기화되고 배터리 업황 반등 시점이 지연될 우려가 부각. 아울러 이번 법안에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직접 수혜를 본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도 담겼으며, 법안대로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 조기 종료가 현실화하면 업황 둔화 국면에서 AMPC에 의존해온 국내 배터리 업계에도 영향이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짐.▷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피엔티, 코세스, 포스코퓨처엠, LG화학, 삼영 등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한진칼(180640): 호반건설, 동사 지분율 확대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부각 등에 급등▷전일 주식등의 대량보유자((주)호반건설 외) 소유주식수 변동(장내매수) 전자공시. 호반건설 계열사 ㈜호반호텔앤리조트와 ㈜호반의 동사 지분율은 각각 6.81%, 0.15%로 늘었으며, 이에 따라 호반건설과 특별관계자 지분율의 총합은 18.46%로 증가. 호반건설 측은 단순 투자를 위한 지분 매입이라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동사 최대주주인 조원진 한진그룹 회장 측과의 지분 격차가 줄어 양사 간 경영권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한편, 동사 최대주주인 조원진 한진그룹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은 30.54%이며, 이 중 산업은행 보유 지분율(10.58%)을 제외하면 호반건설과의 지분율 차이는 1.5%포인트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짐.▷한편, 이 같은 소식 속 자회사 한진도 상승세를 기록중임. 두산(000150): 피지컬 AI 혁신 담당 조직 'PAI 랩' 신설 소식 등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주부문에 그룹의 피지컬 AI 혁신 담당 조직인 PAI 랩을 신설한다고 밝힘. PAI 랩은 앞으로 로봇, 건설기계, 발전기기 등 두산그룹 사업 영역의 지능화를 주도하며, 피지컬 AI 혁신을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에 나선다고 언급.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선행 기술개발, 관련 기업들과 폭넓은 협업 및 투자 등도 추진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현재 영위하고 있는 주요 비즈니스와 관련한 피지컬 AI 생태계를 선점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PAI 랩을 이끌어갈 리더로 글로벌 AI 학계·업계 내 구루 급 인재 영입을 계획하고 있다"며 "PAI 랩을 중심으로 계열사와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피지컬 AI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KG모빌리티(003620): 인도네시아 핀다드사와 렉스턴 KD 사업 관련 주요 조건 합의서 체결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도네시아 핀다드(PT Pindad)사와 렉스턴 KD 공급 물량 및 사업 확대를 위한 HOA(주요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핀다드와의 HOA를 통해 국민차 프로젝트와 전기 버스 현지 생산의 공동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며, 차량 상품성 검토 등 기술 및 엔지니어링을 지원하게 된다고 설명. 특히, 향후 신모델 추가 공급과 함께 핀다드 주도로 진행중인 '인도네시아 국민차 프로젝트 & 전기 버스 현지 생산 프로젝트'와 관련해 공동 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총 20만대 규모로 사업을 확대하도록 상호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힘.▷이와 관련, 곽재선 회장은 "무쏘 스포츠와 렉스턴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 받으며 영국과 불가리아, 페루 등에 관용차로 공급된 바 있다"며, "특히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매력적인 시장인 만큼 당사만의 차별화된 제품력과 마케팅 전략으로 판매 물량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힘. 유한양행(000100): 보통주 240,627주 소각 결정 등에 상승▷보통주 240,627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5-23)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252.65억원 규모임.▷아울러 수시공시의무관련사항(자사주 취득 계획) 공시. 동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 목적으로 총 2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향후 6개월내 분할매입할 예정임. LX홀딩스(383800): 1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전일 장 마감 후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0.62억원(전년동기대비 +9.66%), 영업이익 713.75억원(전년동기대비 +46.79%), 순이익 704.69억원(전년동기대비 +45.69%). 경동나비엔(009450): 1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전일 장 마감 후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651.81억원(전년동기대비 +12.97%), 영업이익 394.50억원(전년동기대비 +21.23%), 순이익 377.06억원(전년동기대비 +20.09%). CJ제일제당(097950): 1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20조원(전년동기대비 -0.10%), 영업이익 3,331.68억원(전년동기대비 -11.37%), 순이익 573.89억원(전년동기대비 -62.88%).▷언론에 따르면, 회사 수익성을 주도하는 식품사업 부문의 영업이익 감소가 두드러진 가운데, 식품사업 부문 매출은 2조9,24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286억원으로 30%나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내수 소비 부진 장기화와 설 명절 선물세트 매출 일부가 지난해 4분기에 반영된 영향이 원인으로 풀이되고 있음. 또한, 바이오사업 부문의 실적 부진도 전체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끼쳤으며, 해당 부문은 매출 8,954억원, 영업이익 825억원으로 두 자릿수 하락을 기록. CJ대한통운(000120): 1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99조원(전년동기대비 +2.43%), 영업이익 853.67억원(전년동기대비 -21.94%), 순이익 409.77억원(전년동기대비 -26.08%).▷이와 관련,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및 올해 1월부터 시작한 주7일 배송 서비스 '매일 오네(O-NE)' 시행 초기 운영 안정화를 위한 원가 반영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고 설명. KCC글라스(344820): 1분기 적자전환에 하락▷전일 장 마감 후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86.78억원(전년동기대비 +15.31%), 영업손실 56.2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12.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NHN(181710): 1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942.84억원(전년동기대비 +0.50%), 영업이익 231.35억원(전년동기대비 -6.88%), 순이익 30.17억원(전년동기대비 -93.26%).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001.29억원(전년동기대비 -0.70%), 영업이익 276.46억원(전년동기대비 +1.31%), 순손실 2.3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언론에 따르면, 기술 부문에서 전년동기대비 11.0% 증가한 1,056억원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NHN클라우드의 공공 부문 매출이 지난해 4분기에 집중됨에 따른 역기저 효과로 전 분기 대비로는 10.9%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기타 부문(커머스, 콘텐츠, 광고 사업)의 전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9.8% 감소한 1,045억원을 달성.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코디(080530): 1분기 실적 호조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색조 전문 ODM업체로 비상장 인디 색조 브랜드를 주요 고객사로 유치하며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힘. 1Q25 매출액 232억원(YoY +29%, QoQ +34%), 영업이익 20억원(YoY +1,222%, QoQ +1,067%), OPM 8.7% 달성하며 역대 최대 이익률을 기록했으며, 기존 대형 고객사의 발주가 유지되는 과정에서 신규 인디 브랜드의 매출이 증가하며 호실적을 시현했다고 분석.▷2Q25E에도 기존/신규 고객사들의 발주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2025E 실적은 매출액 993억원(YoY +27%), 영업이익 87억원(YoY +462%), OPM 8.7%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또한, 2025E PER 9.7배로 대형 ODM PER 16.0배 대비 저평가 상태라며, 향후 최대주주인 지피클럽과의 시너지 또한 중장기적으로 기대가 가능하다고 설명. 디앤디파마텍(347850): 비만 치료제 관련 장기지속형 HALO 플랫폼 주목 분석 등에 급등▷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경쟁이 치열해진 비만 치료제 업계에서 한 달 이상의 장기지속형제제와 경구제가 Next 비만 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동사가 펩타이드를 제형화하여 장기지속형이나 경구제로 개질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Metsera는 이 부분에 주목하여 5개의 파이프라인에 대해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Metsera는 자신들이 자체 개발한 장기지속형 HALO 플랫폼에 동사의 ORALINK를 적용하여 MET-096o와 MET-224o 파이프라인을 발굴하여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MET096o는 MET-096i(SC)로 임상2a상에서 반감기가 380시간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후 ORALINK를 추가로 적용한 것으로 BA의 상당한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MET-224o도 제형 최적화 단계에 있어 연내에 임상 진입하여 4주 투여 결과를 빠르면 연말쯤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최근 Pfizer가 공을 들여 개발하던 Danuglipron의 비만 치료제 개발 중단과 함께 비만 파이프라인을 계속 유지하는 목적으로 기업 인수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많은 관심을 모았으며, 노보노디스크의 세마글루타이드 경구 비만치료제 FDA NDA 신청, 릴리의 Orfoglipron의 임상3상 성공, AbbVie의 Amylin analog 기술 인수 등 비만 치료제 관련 소식이 잦은 요즘, ORALINK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한다고 언급.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美서 '자큐보' 위궤양 3상 임상결과 유효성 확인 소식 등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시트르산염)의 위궤양 대상 임상 3상 시험 결과 유효성 등이 확인됐다고 밝힘. 이달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5 미국소화기질환주간'(DDW 2025)에서 자큐보의 두 번째 허가 신청 적응증인 위궤양의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했으며, 해당 임상은 국내 39개 병원에서 위궤양 환자 3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환자에게 자스타프라잔 20mg 또는 란소프라졸 30mg을 하루 한번씩 4주 또는 8주간 투여한 후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했음.▷그 결과 8주 차 자스타프라잔 투여군의 내시경 평가 기준 누적 치유율은 100%로 유효성에 대한 결과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치료 4주 차 기준으로 측정된 삶의 질 개선에서도 자스타프라잔 투여군은 불안 및 우울 지표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동사는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위궤양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힘.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 리가켐바이오와 ADC 항체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속 강세▷주식회사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이전 계약 체결 공시. 총 계약금액은 당사의 최근사업연도인 2024년말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57.62억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임.▷한편, 동사와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한 리가켐바이오도 상승. 보로노이(310210): 항암신약 후보 기술이전 가능성 기대감 등에 강세▷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그동안 대부분의 파이프라인이 전임상 단계에 있었으나, 최근 임상 단계 파이프라인의 증가로 기술이전 가능성과 기업가치 상승 여력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총 기업가치는 VRN07 신약가치 1,820억원, VRN11 신약가치 2.5조원을 더하여 2.7조원으로 산정했다며, 향후 VRN11 고용량 임상 결과 발표, VRN10 글로벌 제약사 기술이전, VRN07 중화권 기술이전 등 주요 이벤트가 가시화될 경우 파이프라인 가치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50,000원[신규] 박셀바이오(323990): NK치료제 활용 췌장암 임상연구, 국가지원 과제 선정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NK세포 치료제를 사용하는 진행성 췌장암 임상 연구가 국가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힘.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첨단재생의료임상연구 활성화지원사업단'과 협약을 맺고 동사의 NK세포 치료제 'VCB-1102'를 활용한 진행성 췌장암 첨단재생의료 임상 연구에 착수하며, 동사는 이번 연구에서 NK세포 치료제 공급을 맡을 예정이라고 설명.▷이와 관련, 이제중 동사 대표는 "간암에서 입증된 NK세포 치료제의 효과를 바탕으로, 면역 치료제 기반 병용 치료의 가능성을 다양한 암종으로 넓히고 있다"고 밝힘. CNT85(056730): 주식회사 안양개발과 99.28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안양개발과 99.2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81%) 규모 공급계약(안양동 837-8번지 공동주택 신축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6-30~2027-04-30) 공시. 메디포스트(078160): 제대혈 혈장 '항노화 효과' 국제 학술지 게재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제대혈에서 분리한 혈장이 피부 노화 억제 및 세포 회복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항노화분야 권위 학술지 '리주베네이션 리서치'에 게재했다고 밝힘. 이번 연구는 사람 피부세포를 활용해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모델과 자연 노화 모델에서 제대혈 혈장과 성인 혈장의 효과를 비교 분석했으며, 두 모델 모두 제대혈 혈장이 노화 지표를 줄이고 세포 회복을 촉진하는 항노화 효과를 나타냈다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제대혈 유래 성분을 활용한 항노화·재생의학 분야 상업적 제품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힘. 알테오젠(196170): 특허 분쟁 종료 시 ALT-B4 가치 재평가 기대감 등에 상승▷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SC제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으므로 임상 단계에서 ALT-B4를 적용하려는 파트너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키트루다SC의 FDA 승인과 특허분쟁 종결이 가까워 질수록 기허가 항체의약품들의 파트너쉽 요청도 급증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이번 분쟁에서 할로자임이 패소하면 Enhanze는 존속기간이 만료되고 MDASE도 권리성이 약화되어 새로운 파트너사의 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한편, 작년 11월 머크는 키트루다SC의 성공적인 임상3상 데이터 공개와 함께 상용화를 앞두고 할로자임의 특허를 제거하기 위해 무효심판을 제기했으며, 무효심판을 당한 할로자임은 뒤늦게 ‘25년 4월이 되어서야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힘. 그러나 통상적인 특허 분쟁 절차상 침해 소송은 심리 되지 않고 STAY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할로자임이 특허는 ALT-B4를 저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확대한 만큼 하자가 많은 상태로 등록되었다고 설명. 이 점이 이번 분쟁에서 Merck가 무효심판에서 이길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라고 밝힘.▷이에 특허분쟁에서 Merck의 승리를 높게 예측하고 있어 목표주가 계산에 관련 리스크를 반영하지 않았으며, 키트루다SC 출시에 따른 현금 유입 속도가 빨라진다면 기업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440,000원[신규] 루닛(328130): 1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2.02억원(전년동기대비 +273.57%), 영업손실 206.6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20.2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이와 관련, 서범석 동사 대표는 언론을 통해 “올해 1분기 실적은 글로벌 사업 확장 전략이 실제 매출로 구현된 성과로, 루닛 인사이트와 루닛 스코프 모두 고성장세를 재확인한 것이 고무적”이라고 설명. 삼현(437730): 한국형 아이언돔 장사정포요격체계 핵심부품 체계 개발 착수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장사정포요격체계(LAMD) 레이다용 전기식수평안정화장치 체계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한국형 아이언돔'이라 불리는 장사정포요격체계(Low Altitude Missile Defense)는 수도권 방어를 위한 단거리, 저고도 요격체계이며, 이번 체계개발 계약 1차분은 약 16억원 규모로, LAMD의 '눈' 역할을 수행하는 고성능 레이다에 적용될 수평안정화장치 체계를 개발하고 성능 검증을 거쳐 대규모 양산 공급할 예정.▷이와 관련, 박기원 동사 대표이사는 "이번 체계개발은 단순 부품 납품이 아니라, 기존의 고고도(L-SAM), 중고도(M-SAM)에 이어 저고도(LAMD)체계까지 확대 적용하는 과정"이라며, "양산 전환 시 10~30톤 고중량에 이르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전체를 독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엠젠솔루션(032790): 중대재해처벌법 및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수혜 전망 등에 상승▷밸류파인더는 동사에 대해 인공지능(AI) 기반 화재 탐지 및 진압 솔루션을 상용화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라는 두 가지 테마의 모멘텀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 중소기업중앙회가 ‘대한민국 성장엔진 재점화’를 주제로 개최한 간담회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했으며, 최근 들어 기업 대표들을 중심으로 화재 예방 및 대응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아울러 동사는 지난 3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참여하는 상장사 협의회에 정식으로 가입하며 글로벌 확장 가능성도 확보했다며, AI 및 사물인터넷(IoT) 기반 디지털 인프라 구축 기술과 재난 대응 솔루션을 앞세워 우크라이나 도시 복원과 안전망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힘. 큐로셀(372320): 고형암 CAR-T 치료제 개발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서울대학교와 함께 고형암 CAR-T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정부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힘. 큐로셀과 서울대학교는 이번 정부과제를 통해 면역억제적인 종양 환경에서도 CAR-T 세포가 면역 활성을 유지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고형암 CAR-T 치료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시험을 공동 수행하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임상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와 관련, 김건수 대표는 "고형암 CAR-T 치료제는 아직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지 않은 미개척 분야"라며, "이번 정부과제를 통해 서울대와의 협업을 더욱 강화하고, 면역세포치료제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력을 세계에 각인시키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밝힘. 로보티즈(108490): 1분기 흑자전환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2.23억원(전년동기대비 +22.61%), 영업이익 8.2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2.0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이와 관련, 언론에 따르면 이번 흑자전환의 배경에는 주력 제품인 액츄에이터와 감속기 등 핵심 부품이 양산 단계에 본격 진입하면서 재무제표 상에도 성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 1분기 호실적 분석 등에 상승▷SK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실적은 매출액 41억원(+445%, YoY)과 영업이익 -6억원(적자축소 YoY)을 시현했으며,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모비케어와 씽크 모두 큰 폭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분석. 특히, 모비케어 내 채널별 매출 비중은 종합/상급병원 74%, 건강검진센터 26%를 기록했으며, 올해는 건강검진센터 매출 비중이 5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아울러 씽크는 지난 2월 국내 최초로 확보한 4.4 만원 수준의 심전도 감시 보험수가(코드: EX871) 효과, 준종합병원 중심의 구독 확대에 따라 기대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또한, 2Q25부터 상급종합병원 침투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24년10개 병원, 25년 100개까지 도입 병원 수가 늘어날 전망. 올해는 2H25 건강검진 성수기 효과에 따라 상저하고 실적 성장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의 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206억원(+154.3%, YoY)과 영업이익 23억원(흑자전환,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코스메카코리아(241710): 2분기 역성장 전망 등에 소폭 하락▷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1,398억원(-2.7% YoY, +18.2% QoQ), 영업이익 163억원(-10.2% YoY, +32.3% QoQ)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197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실적 전망치의 하향 조정에도 2025년 기준 PER은 10.4배에 불과하다며, 전년 기저 부담으로 2분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추정.▷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 -> 80,000원[하향] 잉글우드랩(950140): 1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전일 장 마감 후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25.31억원(전년동기대비 -19.11%), 영업이익 45.73억원(전년동기대비 -30.96%), 순이익 32.45억원(전년동기대비 -50.95%). 파인테크닉스(106240):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양수도 계약 해제 속 약세▷장 마감 후 양수인(엄진성 외 1인)의 주식양수도 매매 잔금 미지급에 따른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 해제 공시. 인터로조(119610): 상장유지 결정에 따른 거래재개 첫날 급락▷전일 장 마감 후 상장유지 결정에 따른 거래정지 해제 공시. 이에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2024년4월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의견거절로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된 바 있음.@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5-13 11:56:27조회수: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