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남북경협, 원자력발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AI 챗봇(챗GPT 등), 전력설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조선기자재, 셰일가스(Shale Gas), 풍력에너지,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미용기기, 조선, 철도, LNG(액화천연가스), IT 대표주, 전선, 퓨리오사AI 등...약세 테마 : 인터넷 대표주, 유리 기판, 전자결제(전자화폐), 뉴로모픽 반도체, 스테이블코인,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STO(토큰증권 발행),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지역화폐, 면세점, 증권, NFT(대체불가토큰), 밥솥, 3D 프린터,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웹툰,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애플페이, 핀테크(FinTech), 페라이트, 토스(toss), 영화, 마이데이터, 영상콘텐츠, PCB(FPCB 등), 인터넷은행, 삼성페이, HBM(고대역폭메모리), 여행, 보안주(정보),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게임, 반도체 장비 등...[특징 테마]전력설비/ 원자력발전/ AI 등 : 美 엔비디아, 오픈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약 140조원 규모 투자 소식 등에 상승▷엔비디아는 22일(현지시간) 오픈AI와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오픈AI에 최대 1천억 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번 투자는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을 사용해 오픈AI 모델을 학습·배포할 수 있는 10기가와트(GW) 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10GW는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전해짐.▷특히, 양사는 협력 첫 단계로 100억 달러 상당을 투자해 2026년 하반기까지 1GW 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임.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오픈AI가 소프트뱅크·오라클 등과 진행중인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와 함께 이뤄진다며, 오픈AI는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은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등 광범위한 협력업체 네트워크와 이미 진행 중인 AI 인프라 구축 작업을 보완한다"고 설명.▷한편, 방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첫 일정으로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WEF) 의장 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회장을 접견했음.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국 정부와 블랙록은 인공지능(AI)·재생에너지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시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전해짐. 특히, 정부는 이번 협의를 통해 데이터센터, 전력망 등 핵심 분야의 성장 기회를 열고, 한국 시장이 국제 금융 생태계 안에서 신뢰할 만한 투자처로 인정받아 향후 더 다양한 글로벌 자본 유치를 추진할 계획임.▷이 같은 소식 속 한라캐스트, 마음AI, 유디엠텍, 코난테크놀로지, 뉴엔AI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와 일진전기, 지엔씨에너지, 광명전기, 산일전기, 효성중공업 등 전력설비, 우진, 에너토크, 오르비텍, 우진엔텍, SNT에너지 등 원자력발전 등의 테마가 상승.남북경협 : APEC 계기 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 가능성 거론 소식 등에 상승▷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북미 간 대화 재개를 위한 실무 접촉이 있을 것으로 전해짐. 정부 핵심 관계자는 "뉴욕 유엔 총회 기간 북미 간 뉴욕 채널을 가동해 물밑 접촉 시도가 있을 것"이라며, 북한은 이번 유엔총회에 김선경 외무성 부상을 단장으로 하는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음. 외교 소식통은 "북한에서 고위급 대표단을 보낸다는 건 북미 접촉에 나서겠단 뜻"이라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판문점서 북미 정상 간 접촉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언급했으며, 6년 만에 판문점 회담 성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음. 한편, 김 부상은 최선희 외무상 다음 지위의 고위급 인사로, 북한이 총회 연설에 고위급 대표단을 보낸 것은 지난 2018년 이용호 외무상이 마지막인 것으로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일신석재, 재영솔루텍, 지엔씨에너지, 아난티, 좋은사람들, 코데즈컴바인, 신원, 현대엘리베이터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조선/ 조선기자재 : 관세청, 미군함 MRO·마스가 프로젝트 대응 차원 보세구역 확대 방안 추진 소식 등에 상승▷일부 언론에 따르면, 관세청이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조선업 수주 증가에 대응하고자, 관세 부과를 보류하는 보세구역을 현행 보세공장에서 일반 부두로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전해짐. 보세 공장이 아닌 일반 부두에서도 군함 수리와 선박 각종 설비를 배치하는 이른바 의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이는 신규 선박 수주 및 미군함 MRO 증가에 따른 선박 건조 장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석임.▷APEC 기대감도 부각되고 있음. 2025년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10월31일부터 11월1일까지 경북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조선 업계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K-조선 현장을 직접 보여주는 방안을 추진중임.▷한편, HD현대중공업이 첫 미 해군 MRO 사업으로 수주한 ‘USNS 앨런 셰퍼드’함이 오는 29일 오전 울산항 염포부두로 입항할 예정. 앨런 셰퍼드함은 울산 동구 HD현대미포 인근 안벽에서 정기 정비(Regular Overhaul)를 받는다며, 프로펠러 클리닝과 각종 탱크류 정비, 장비 검사 등을 거쳐 연말이나 내년 초 미 해군에 인도될 예정. 정부가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를 제안한 뒤 이뤄진 첫 수주로서 의미가 있다고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동일스틸럭스, 대한조선, 한화오션, SK오션플랜트, 오리엔탈정공, 동방선기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오전장 특징주★(코스피)한미약품(128940) : '근육 증가' 비만치료제 연구 발표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 'HM17321'의 비임상 연구에서 근육 증가, 지방 감량 등 효능이 확인됐다고 밝힘. 동사는 15∼1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HM17321 등 비만 치료제에 대한 비임상 연구 결과 6건을 발표했으며, 이 중 HM17321은 근손실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의 비만 혁신 신약으로 개발되는 것으로 전해짐.▷동사 연구진은 HM17321이 근육 내 조절 T세포 활성화를 통해 근세포 기원인 위성 세포의 분열과 분화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확인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HM17321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만 영장류 모델에 장기간 투약한 결과 체지방 선택적인 체중 감량과 동시에 제지방량 보존 효과가 재현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최인영 동사 R&D 센터장은 "차별화로 무장한 전방위 혁신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비만 치료의 새로운 이정표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밝힘.SK이터닉스(475150) : ESS로 2차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제주 가시리 풍력단지는 2015년 준공 이후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는 향후 다른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에도 긍정적인 레퍼런스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재생에너지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ESS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며, 전력 계통 이해도와 입지 확보 능력, 국내 최대 규모의 ESS 운영 레퍼런스, 배터리사와의 파트너십 등을 바탕으로 ESS 중앙계약 시장에서 유의미한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2025년10월 540MW 규모의 두 번째 입찰이 열리는 가운데, 동사가 상반기(40MW) 대비 더 큰 용량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국내 태양광 PPA, 장주기 ESS, 연료전지 CHPS에서 각각 150MW, 100MW, 50MW를 매년 개발할 수 있다면 약 700억원의 개발 이익을 매년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 여기에 EPC 이익 및 Recurring 이익(지분법 등)도 점증적으로 더해질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연내 신안우이 해상풍력 착공 및 10월 ESS 입찰 결과를 주가 상승 트리거로 주목된다고 밝힘. 한편, 이익 개선은 3Q25보다는 4Q25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현대로템(064350) : 올해 연간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연간 매출액은 5.7조원으로 전년대비 31.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작년과 마찬가지로 방산 디펜스솔루션 부문이 매출액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영업이익은 1.1조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30.1% 증가할 것으로 전망. 디펜스솔루션의 고마진 수출 비중이 6.2%p 개선되는 가운데 작년 대규모 적자 기록했던 레일솔루션 부문 흑자전환에 기인한다고 설명.▷이어 폴란드 프레임 계약의 전체 물량 1,000대 중 아직 640대가 이행계약으로 체결되지 않은 상태지만, 최근 공시된 2차 이행계약 180대 인도가 마무리되면 한국 전차의 운용 비중이 가장 높아질 예정으로 운용 대수가 많을수록 유지나 보수, 수리 등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남아있는 640대에 대한 이행 여부 우려는 과도하다고 설명.▷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70,000원[신규]▷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ㆍAsia Machinery & Manufacturing Expo)’에 참가한다고 밝힘. 동사는 차세대 모빌리티 시장에서 떠오르는 무인화와 전동화, 친환경 기술을 주제로 부스를 꾸려 차별화된 제품군을 소개할 예정임.LG이노텍(011070)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F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 5.0조원(-12.6% YoY), 영업이익 1,785억원(+36.8% YoY, OPM 3.6%)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1,642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우려 대비 양호한 전략 고객사 신모델에 대한 수요와 우호적으로 작용한 매입 시점 대비 매출 시점의 원달러 환율이 맞물리며 예상 대비 양호한 수익성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아울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의 26년 실적은 내년 출시될 신모델에서 가변 조리개 채택 등 카메라 모듈의 스펙 상향과, 베트남 생산법인 신규 공장 본격 가동에 따라 반등할 것으로 전망. 또한, 전략 고객사의 인도 생산 비중 확대 기조에 따라 고객사 내 점유율 반등도 기대해 볼 수 있다며, 현 실적과 주가 모두 하방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10,000원 -> 240,000원[상향]한국전력(015760) : 중장기적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등에 소폭 상승▷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 정부 하에서 중장기 전기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이익 극대화가 전망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재명 정부는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의지를 정부 조직 재편,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 등으로 피력했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중장기 전기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한 바 인상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 전기요금 인상이 정치적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점 역시 긍정적이라고 밝힘. 특히, 전기요금은 26년 상반기 5원/kWh 이상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당순자산은 26년 8.1만원에서 28년 10.8만원까지 개선될 것으로 추정. 중장기 PBR도 0.50배에서 0.35배로 하락해 밸류에이션 매력 역시 더해질 전망이라고 설명.▷한편,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7.9조원(+7% y-y), 5.4조원(+60% y-y)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3분기 전력판매단가는 174원/kWh(+4% y-y)으로 전기요금 인상과 주택용 누진제 효과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넥센(005720) : 235.42억원 규모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등에 하락▷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엔에이치-아이비케이씨 밸류 신기술투자조합 등 대상으로 235.42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7,686원, 교환청구일:2025-10-30 ~ 2030-08-30) 공시. 자기주식을 교환대상으로 하는 교환사채 발행 목적 보통주 3,063,100주(235.4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9-30~) 공시.오전장 특징주★(코스닥)한국피아이엠(448900) :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와 차세대 손 관절 부품 개발 논의 진행 소식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직경 2mm 이하의 초소형 감속기 기어 생산이 가능한 마이크로 MIM(Metal Injection Molding) 기반 티타늄 가공 기술을 확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와 차세대 손 관절 부품 개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이와 관련, 동사는 “초소형 감속 기어는 현재 플라스틱이나 기계가공을 통해 생산되고 있으나 양산성이 낮다”며 “동사가 보유한 마이크로 MIM 기술을 통해 차별화를 만들고 있으며, 실제 이 기술을 활용한 소형 감속기 개발에 대해 글로벌 기업과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 다만, 글로벌 기업과 논의 건은 고객사와의 비밀유지계약으로 인해 상세한 내용은 공개하기 어렵다고 언급.아이앤씨(052860) : 자체 개발 NB-IoT칩 'NB5000', 가스 원격검침(AMI) 시범 3차 보급사업에 본격 적용, 상용화 단계 진입 소식에 강세▷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자체 개발한 NB-IoT칩 'NB5000'을 가스 원격검침(AMI) 시범 3차 보급사업에 본격 적용,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전해짐. 이번 성과는 국내 NB-IoT 칩 국산화의 성과이자, 국산 기술 기반의 NB-IoT 스마트 인프라 시장 전반으로의 확산을 앞당기는 전환으로 평가되고 있음.▷이번에 상용화된 'NB5000'은 국내 최초 자체 개발 NB-IoT 칩셋으로, 국가정보원 KCMVP 보안모듈 인증까지 획득해 보안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입증했다며, 현재 다수의 수도 AMI 관련 기업들과 협력을 추진 중인 만큼, 이번 상용화는 국산 기술 기반의 NB-IoT 스마트 인프라 시장 전반으로의 확산을 앞당기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해짐.제이에스링크(127120) : 희토류 모빌리티 투자조합 대상 120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속 강세▷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희토류 모빌리티 투자조합 대상으로 12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2,232원, 전환청구일:2026-10-02 ~ 2028-09-02) 공시.유디엠텍(389680) : 글로벌 톱티어 제조기업과 디지털트윈 개발 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첨단 제조기업과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은 동사의 제어 데이터 기반 AI 기술력과 글로벌 제조기업의 생산 운영 노하우가 결합된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스마트 제조 디지털화의 핵심 전환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해짐. 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해 생산 설비의 가상화와 지능화를 실현함으로써 가상 시운전, 이상 탐지, 예지보전, 공정 최적화, 품질혁신 등제조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며, 초기 적용 및 검증 이후, 생산라인 전반으로의 단계적 확산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이와 관련, 왕지남 동사 대표이사는 "이번 글로벌 제조기업과의 디지털트윈 협력은 단순한 기술 계약이 아니라, 유디엠텍이 글로벌 제조 현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이자, 매출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확보할 전략적 모멘텀"이라며, "향후에도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 AI 기반 디지털트윈 및스마트 제조 솔루션 분야의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힘.드림씨아이에스(223250) : 최대주주 등 대상 15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최대주주 홍콩타이거메드 유한회사(Hongkong Tigermed Co., Limited) 등을 대상으로 1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847원, 전환청구일:2026-09-30 ~ 2028-08-30) 공시.딥노이드(315640) : 흉부 X-레이 영상 분석 기술 'RadZero' 연구 논문, AI 학술대회 'NeurIPS 2025'서 채택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연구팀의 흉부 X-레이 영상 분석 기술 'RadZero' 연구 논문이 국제 AI 학술대회 'NeurIPS 2025'에서 채택됐다고 밝힘. NeurIPS는 매년 전 세계에서 2만여 편의 논문이 투고되며, 이 중 약 25%만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채택되는 권위 있는 학회라고 알려짐. 동사의 'RadZero' 연구 논문 채택은 기업의 독자적인 기술력과 연구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로 평가되며, 이번 연구는 딥노이드 연구팀의 단독 성과로 오는 12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공개될 예정임.▷이와 관련, 동사 AI선행기술팀 박종권 팀장은 "이번 NeurIPS 채택은 의료 AI에서 설명 가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동사의 비전-언어 모델 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라고 언급. 이어 "RadZero 기술이 적용된 M4CXR이 상용화를 통해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되어 진단 효율성과 정확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젬백스(082270) :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 2상 연장 임상 투약 완료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의 2상 연장 임상시험 투약을 모두 완료했다고 밝힘. 연장 임상시험에는 67명의 환자가 참여했고, 최근 투약 및 마지막 관찰까지의 과정을 완료했으며, 연장 임상시험에는 선행 임상시험 대상자의 85% 이상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짐. PSP 2상 임상시험 결과는 향후 데이터 분석을 거쳐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수령할 예정.▷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내년 PSP 글로벌 3상 임상시험 개시를 목표로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세계 최초 PSP 치료제 개발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지투지바이오(456160) : 기술수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장기지속형 플랫폼 InnoLAMP를 통해 고함량 약물 미립구를 개발중이라며, 가장 빠르게 임상이 진행 중인 후보물질은 치매치료제로 도네페질, 임상1상을 완료했다고 언급.▷특히, 글로벌 제약사와 다양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고, 기술수출 기대감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세마글루타이드에 대한 한달 제형을 글로벌 A사와 2023년부터 공동연구 진행 중이고, 글로벌 B사와는 비공개 후보물질 공동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 이어 공모자금으로 제2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라며, 2027년에 완공될 것으로 전망. 마이크로스피어는 대량생산이 관건으로, 신규 공장 건설로 기술수출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에스와이스틸텍(365330) : 유상증자 권리 매도일 속 급락▷오는 25일 1,500만주의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물량이 추가상장될 예정인 가운데, 2거래일 전인 금일부터 권리 매도가 가능해졌음. 1주의 발행가액은 3,345원임.▷한편, 지난 6월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5,000,000주(501.7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확정발행가:3,345원,1주당 약 0.49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09월 03일~2025년 09월 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09-25)한 바 있음.KS인더스트리(101000) :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속 거래재개 후 급락▷지난 19일 장 마감 후 불성실공시법인지정(공시번복 1건, 공시변경 1건) 공시. 이에 지난 22일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9-23 11:26:53조회수: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