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폴더블폰, 온디바이스 AI, 전선, 뉴로모픽 반도체, 원자력발전소 해체, 비만치료제, 면역항암제,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3D 낸드(NAND), 항공기부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전력설비, 백신여권, PCB(FPCB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미용기기, 건강기능식품,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LED장비, 셰일가스(Shale Gas) 등...약세 테마 : 손해보험, 두나무(Dunamu), STO(토큰증권 발행), 마이데이터, 야놀자(Yanolja), 창투사, 스테이블코인, 자동차 대표주, 골프, 증권,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kakao BANK), 도시가스, 강관업체(Steel pipe), LPG(액화석유가스), 키오스크(KIOSK), 백화점, 수산, 미디어(방송/신문), 핀테크(FinTech), 지역화폐, 홈쇼핑, 전자결제(전자화폐), 육계, 애플페이,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등... [특징 테마]반도체 관련주 : 美 정부, 엔비디아 AI 칩 H20 中 수출 승인 소식 등에 상승▷중국을 방문 중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정부가 자사 인공지능(AI) 칩 H20의 중국 수출을 승인했다고 밝힘. 황 CEO는 "우리는 중국 시장에 H20 칩을 판매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H20이 빨리 발송되기를 매우 기대하고 있다.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이것은 매우, 매우 좋은 소식"이라고 언급. 이어 "두 번째 소식은 우리는 'RTX 프로'라는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 그래픽카드는 컴퓨터 그래픽, 디지털 트윈, AI 전용으로 설계된 매우 중요한 제품"이라고 밝힘. RTX 프로는 미국 수출 규제를 준수해 중국 전용으로 설계된 칩이라고 전해짐.▷이날 관세청이 발표한 ‘6월 월간수출입 현황(확정치)’에 따르면, 6월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3% 늘어난 598억 달러로 집계됐으며, 수입은 3.3% 증가한 507억 달러를 기록. 이에 무역수지는 91억 달러 흑자를 기록. 특히, 반도체 수출 실적이 돋보였음. 6월 반도체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1.3% 늘어난 151억5,000만 달러를 기록해 월간 기준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한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오는 17일 열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사전 제출한 답변서에서 반도체와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한국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불리는 생산세액공제 제도 도입을 우선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밝힘.▷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DB하이텍, 테크윙, 미래반도체, 자람테크놀로지, 에스앤에스텍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폴더블폰 등 : 내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전망에 따른 국내 소부장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미국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이 내년 출시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상당한 비중의 물량을 공급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IB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률 정체와 애플 점유율 하락 등 상황 때문에 애플이 내년 하반기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 애플의 브랜드 파워 등을 고려할 때 폴더블 아이폰이 출시된다면 높은 가격에도 시장의 높은 호응이 예상된다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독점은 장기간의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 소부장 기업들도 지난달 프로토타입 납품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패널과 관련해선 (삼성디스플레이에) OLED 소재를 납품하는 덕산네오룩스의 수혜가 전망되며, 커버글라스 소재로는 UTG가 선택될 것으로 보이고 공급업체로는 중국 렌즈 테크놀로지가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양산경험 및 기술력을 고려하면 국내 기업인 도우인시스의 합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다고 밝힘. 또한, FPCB(연성인쇄회로기판) 관련으로는 비에이치와 에스아이플렉스, 외장 힌지는 KH바텍, 내장 힌지는 파인엠텍 등이 폴더블 아이폰 부품 공급망에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애플 공급망에 전통한 것으로 알려진 궈밍치 홍콩 텐펑증권 애널리스트는 파인엠텍이 애플이 2026년 출시한 폴더블 아이폰 수혜주라고 분석. 애플이 2026년 하반기에 출시할 폴더블 아이폰에 삼성디스플레이(SDC)의 주름 없는(crease-free)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도입할 예정이며, 애플 자체 설계가 아닌 SDC의 솔루션을 채택할 것이라면서 이 기술의 핵심은 디스플레이 접힘 부위에 발생하는 스트레스 집중을 분산시키는 메탈 플레이트(내부 힌지)이며, 이 메탈 플레이트는 파인엠텍이 제조한다고 밝힘. 파인엠텍은 베트남 생산능력을 확장하며 2026년 1분기부터 폴더블 아이폰용 메탈 플레이트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고, 공급 점유율은 80% 이상이 예상된다고 설명.▷이 같은 소식 속 파인엠텍, KH바텍, 비에이치, 세경하이테크, 유티아이, 이녹스첨단소재 등 폴더블폰 테마가 상승. 또한, 서울반도체, 캠시스, 제주반도체, 인탑스, 덕산네오룩스 등 아이폰/ 휴대폰부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테마 등도 상승.비만치료제 : 구글 모회사 알파벳, 비만치료제 기업 멧세라 지분 투자 소식 등에 상승▷일부 언론에 따르면,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유사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인 멧세라에 대규모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멧세라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Form 13F에 따르면,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지난 1분기 약 1억3,500만 달러(약 1,85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멧세라의 주식 496만 주를 새롭게 취득했다고 알려짐. 이는 알파벳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의 약 8.6%에 해당하는 규모로 보유 종목 중 다섯 번째로 비중이 크다며, 이번 투자로 알파벳은 멧세라의 지분 약 4.72%를 보유하게 됐다고 전해짐.▷멧세라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기반의 먹는 비만 치료제와 펩타이드 신약을 개발 중인 기업으로 최근 GLP-1 계열 약물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음.▷이 같은 소식 속 멧세라의 파트너사인 디앤디파마텍을 비롯해 펩트론, 인벤티지랩, 블루엠텍, 일동제약, 큐라티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오후장 특징주★(코스피)세아베스틸지주(001430) : 국내 CASK 시장 개화 전망 및 신사업 중심 구조적 이익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030~2032년 한빛‧한울‧고리 원전의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능력이 포화 상태에 도달한다는 점과 최근 고리 1호기 해체 결정은 향후 국내 CASK 시장의 개화를 정당화한다고 판단. 향후 점진적인 업황 회복과 더불어 신사업 중심의 성장 및 구조적 이익 회복 가능성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Upside는 열려 있다고 언급.▷한편, 2분기 실적은 영업이익 기준 380억원(-40.2% YoY, +110.2% QoQ) 기록하며 컨센서스(영업이익 383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세아베스틸의 경우 지난 분기 대비 판매량(+3.6만톤) 증가 및 스프레드 개선으로 영업이익(1Q:52억원→2Q:260억원)의 개선세를 시현할 것으로 보이지만, 세아창원특수강은 판매량 증가(+1만톤 QoQ)에도 불구, 니켈 가격의 약세 영향으로 STS 선재 가격 소폭 인하됨에 따라 영업이익은 소폭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6,000원 -> 42,000원[상향]솔루엠(248070) : 2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하회 전망 등에 하락▷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5년2분기 실적은 매출액 3,999억원(+2% YoY), 영업이익 123억원(-40% YoY, 영업이익률 3.1%)으로 추정되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파워모듈 실적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나, 주요 고객의 TV 세트 판매 부진으로 3in1 보드 매출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추정. 주력 사업인 ESL의 경우 기저가 낮은 전년동기 및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38% YoY/+18% QoQ)이 예상되나, 영업망 강화를 위한 해외 (유럽, 북미 등) 현지 영업인력 확대 등으로 마케팅 비용과 인건비가 증가함에 따라 수익성 개선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아울러 25년 실적은 매출액 1.7조원(+6% YoY), 영업이익 757억원(+10% YoY, 영업이익률 4.5%)으로 전망된다며, 원/달러 환율 하락(1Q25 평균 1,453원 → 7/14 1,382원, -4.9%)과 3in1 보드 실적 부진 지속, ESL 비용 부담 증가 등으로 연초 기대치에 못미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원 -> 23,000원[하향]서울보증보험(031210) : 전산장애 발생에 따른 은행 전세대출 차질 소식에 하락▷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시스템 장애가 이틀째 지속되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5억원 이상의 전세대출 보증은 동사가 유일해 전세 수요자들의 혼란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음.▷금융권에 따르면, 동사의 웹사이트와 시스템 전산 장애로 전일 새벽부터 보증보험 관련 대부분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해졌으며, 보증서 발급이 가능한 임차인에 대해 '선 대출 실행 후 보증서 가입'이 가능하도록 조치했으나, 14일부터 전세대출 신규 신청은 아예 막힌 것으로 알려짐.▷한편, 해커가 컴퓨터를 해킹한 뒤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을 당한 것으로 알려진 동사의 시스템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금감원은 전일부터 금융보안원과 함께 현장 점검을 진행 중으로 복구 시점은 미정인 것으로 알려짐.오후장 특징주★(코스닥)펩트론(087010) : 전립선암·성조숙증치료제 '루프원',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치료제 '루프원'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루프원은 자사의 장기 지속형 치료제 플랫폼을 적용하여 개발하여 승인 받은 최초의 의약품으로 자체 생산하는 첫번째 상업 생산 제품이며, LG화학과 체결한 국내 독점 판매 계약에 따라 동사는 제조를, LG화학은 국내 판매를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루프원의 품목허가 획득은 펩트론이 독자 개발한 ‘스마트데포’(SmartDepot) 플랫폼 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상업적 대량생산 단계로 성공적으로 전환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루프원의 본격적인 생산 준비를 마친 오송바이오파크 공장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기반이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펩트론의 근본적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힘.덕산네오룩스(213420) :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급등▷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반기 부진했던 실적은 하반기에 정상화가 예상된다며, 차세대 블루인광 관련 고부가 개발(샘플) 매출의 지속 발생, Black PDL 의 고객사 신규 플래그십 모델 적용(모델 확대), 북미 고객사의 신모델향 소재 공급 본격 확대가 예정되어 있다고 밝힘. 신규 시리즈부터 기본모델의 소재구조 변경으로 P 와 Q 상승이 동반된다며, 믹스 개선을 예상한다고 언급.▷한편, 2Q25 매출액 816억원(본업 505억원, 인수기업(터보기계) 311억원), OP 152억원(합산 OPM 18%, 본업 138억 원(OPM 27%), 인수기업 14억원(OPM 5%))으로, 시장 기대치 대비 소폭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3,000원 -> 48,000원[상향]비씨엔씨(146320) : 식각 공정용 신소재 및 단결정/다결정 실리콘(Si) 잉곳 소재 일부 양산화 소식 등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식각 공정용 신소재 부품의 개발을 끝내고 일부 양산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함께 단결정 및 다결정 실리콘(Si) 잉곳 소재 국산화에 성공과 함께 일부 품목이 양산화 중이고, 일부는 고객사의 퀄(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CVD-SiC 부품을 대체하게 될 신소재 CD9 부품을 개발해 고객사 퀄테스트 완료 후 양산 중”이라고 밝힘.한스바이오메드(042520) : 中 인체조직·의료기기 시장 공략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중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정형외과·치과용 골이식재, 미용 리프팅실, 중국 내 합자법인을 통한 인체조직 이식재 현지화 등 총 4개 분야를 축으로, 중국 인체조직 및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에 나선다고 밝힘. 지난 2024년 8월, 중국 내에서 불거진 ‘인체조직 이식재 불법 생산 사건’ 이후 당국의 대대적인 단속이 이어지면서 원재료 공급망이 사실상 마비된 가운데, 동사가 정형외과용 동종골 이식재 ‘익스퓨즈(Exfuse)’의 수입을 재개하며 사실상 유일한 안정적 공급사로 부상했다고 언급.▷이어 치과용 골이식재 부문에서도 현재 중국 내 경쟁사들의 신규 공급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사가 강력한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의료미용 기기 분야에서도 동사의 중국 전략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의료미용 시장은 2020년 약 28조원에서 2030년 약 117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속 동사는 자사 리프팅실 제품 ‘민트리프트(MintLift)’를 중심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고 밝힘.케이지에이(455180) : 양극재 수계공정화 사업 스케일업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양극재 수계공정화 사업 스케일업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 및 특수 소재와 관련해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 활동을 개시했다고 밝힘. 이달 초 ‘쉐메카’와의 오랜 공동 개발 끝에 LFP(리튬·인산·철) 양극 활물질의 수계공정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한 바 있으며, 양사가 개발한 기술은 특수 코팅 소재를 양극 활물질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자체 테스트 결과 기존 유계 공정과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확인했다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기술 개발 이후 쉐메카와 함께 국내 주요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을 빠르게 전개했다”며, “원가 절감에 효과가 있는 만큼 많은 관심이 있었고, 일부 기업을 대상으론 직접 제작한 배터리 샘플을 제공했으며 그 결과 몇몇 기업과는 협업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힘. 이어 “현재는 LFP 외에도 전고체, 나트륨, NCM(삼원계) 배터리 및 건식공정 등으로의 소재 확장 가능성을 검토 중이며, 국내뿐 아니라 중국 등 해외 시장을 겨냥한 영업 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언급.에프앤가이드(064850) : 지수 추종 ETF 순자산 22조원 돌파 소식 속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사의 인덱스를 기초로 운용되는 국내 ETF(상장지수펀드) 순자산 총액이 22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힘. 이는 순자산 총액 20조원을 처음으로 넘어선 이후 불과 3주만에 달성한 성과며, 해당 ETF의 시장점유율 또한 10%로 재진입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김민근 인덱스개발팀장은 "국내 시장을 아우르는 다양한 테마 지수를 통해 이뤄낸 의미 있는 성과"라며, "배당이나 신규 테마에 대한 수요 등이 최근 국내 주식시장의 회복 흐름과 맞물려 당분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앱클론(174900) : 헨리우스, AC101글로벌 임상 3상 순항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혁신 항 HER2 단일클론항체 AC101(헨리우스 코드명 HLX22)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HLX22-GC-301)에서 미국 첫 환자 투여를 완료했다고 밝힘. 이 임상은 기존 1차 치료 표준요법(트라스투주맙 + 화학요법 ± 펨브롤리주맙)과 직접 비교하는 다기관 시험임.▷임상은 베이징대학 암병원의 린쉔 교수와 미국 MD앤더슨 암센터의 재퍼 아자니 교수가 공동 책임자로 진행 중이며, 중국, 일본, 호주, 한국에서는 이미 1차투여를 완료했고 칠레,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다수 국가에서도 임상시험 승인(IND)을 획득했음.클래시스(214150) : 유럽 판매 본격화와 신제품 출시로 하반기 성장 가속화 기대감 등에 상승▷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초 제시한 가이던스대로 분기별 계단식 실적 상승이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하반기에는 유럽 HIFU/RF 장비 판매 본격화와 마이크로니들 RF '쿼드세이' 출시를 통해 성장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 지난 5월 볼뉴머의 CE-MDR 허가 이후 다수 유럽 국가에서 런칭 심포지움을 통해 판매를 개시했으며, HIFU는 7월 중 허가가 예상된다고 밝힘. 하반기에는 두 제품의 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지난해 약 200억원으로 추정되는 유럽 매출은 올해 300억원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또한, 동사의 주가는 1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차익실현 매물과 최대주주 지분 매각 우려로 현재 12MF PER 24배까지 낮아졌다고 밝힘. 하반기 유럽 매출 본격화와 신제품 효과로 성장성이 강화되는 가운데, 낮아진 밸류에이션이 부각되며 주가는 상승 흐름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3,000원 -> 78,000원[상향]다날(064260) :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위챗페이 결제 전년동기대비 52% 증가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올해 상반기 위챗페이 오프라인 QR결제 거래액이 전년동기대비 약 52% 증가했다고 밝힘. 이번 거래액 증가는 중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편의점 이용량도 동반 상승한 것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지난 5월 거래액은 역대 최고 규모를 경신했음. 위챗페이 오프라인 QR결제는 동사와 중국 텐센트사 간 제휴 서비스로 방한 관광객들이 국내 편의점, 뷰티, 프랜차이즈 등에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음.▷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관광객 결제 서비스는 물론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 학비결제도 독보적인 성장세 속에 제휴 대학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관광객·유학생·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까지 동사 서비스 하나만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완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힘.데브시스터즈(19448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매출은 915억원(YoY +68.0%), 영업이익은 109억원(YoY +120.2%, OPM 11.9%)으로 시장 예상치(매출 817억원, 영익 86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쿠키런: 킹덤’은 매출 볼륨 증가를 목표로 2분기에도 적극적인 지표 기반 UA 마케팅을 진행하여, 1분기 증가한 미국 중심 글로벌 트래픽을 기반으로 2분기에도 4주년 업데이트 효과 제거 악영향 없이 YoY +160%의 매출 증가를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아울러 동사는 쿠키런 IP 프랜차이즈화(캐주얼 러닝 액션, 수집형 RPG, 협동 액션, TCG)를 통해 글로벌 팬덤을 확대/강화시키고 있으며, 마케팅 UA 컨텐츠 확대와 지표 기반의 최적화를 지속해 기존작의 역주행을 일으키고 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오븐스매시(대전 슈팅, 2H25 출시 예정)는 2H25 420억원의 매출 기여(4Q25 출시 가정)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후에도 프로젝트 N(방치형 RPG), 프로젝트 CC(오픈월드) 등 신작 파이프라인이 개발중으로 지속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6,000원 -> 59,000원[상향]오하임앤컴퍼니(309930) : 12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에 하락▷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주식회사 상상인저축은행 등 대상으로 12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175원, 전환청구일:2026-07-30 ~ 2028-06-30) 공시.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7-15 14:54:40조회수:151